중국의 공유경제, '무늬만' 공유, 혁신 부족, 관리 부재와 과잉 경쟁으로 몰락

맛도리 2019. 4. 24. 10:08

중국 주요 도시 인도에 넘쳐나던 공유자전거들이 확 줄었다. 중국 공유경제의 상징물로 여겨졌던 공유자전거 시장에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지난 2014년 '오포'가 공유자전거 사업을 첫 시작한 뒤 한 때 100여곳의 경쟁사들이 난립했다. 그러나 중소형 업체들이 줄줄이 파산하고 현재는 모바이크, 오포, 블루고고, 헬로바이크 등 4개업체만 살아남았다. 최초 업체인 오포도 생사기로에 섰다. 한때 한국뿐만 아니라 유럽 아시아 등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는 야심찬 꿈을 펼치던 패기를 떠올리면 아이러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공유자전거 시장의 흥망성쇠를 반면교사로 삼아 공유경제의 허상과 성공방정식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공유경제의 본질은 기존 물건을 함께 나눠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중국의 공유자전거 시장은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공급해 작위적으로 형성됐다. 중국 공유자전거 시장의 추락은 바로 첫 단추에서부터 비롯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위적으로 시장을 만들어가다보니 무리한 출혈경쟁이 이어지고 사업성을 갈수록 악화됐다. 우선, 2016년부터 경쟁사들이 우후죽순 뛰어든 데 이어 시장 선점을 위해 무리한 사업 네트워크 확장과 무료 탑승 제공 등 과도한 가격인하 체계를 도입했다. 과도한 물량공세에 버티지 못한 업체들이 손을 들었고 살아남은 업체들도 수익성 악화로 큰 내상을 입었다.

최근 4강구도로 재정리되면서 정상적인 가격 체계를 도입하는 등 시장 안정이 기대된다. 그럼에도 공유자전거 시장이 예전처럼 잭팟을 터트리는 업종으로 주목받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자전거수요가 점점 자동차수요로 넘어가는 추세다. 중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에 다가설 정도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면서 수요의 니즈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최근 늘어나는 공유 전기자전거 역시 한때 유행에 그칠 것이란 분석이다. 공유자전거의 유지관리비 역시 사업수익성을 짓누른 요인인데, 공유전기자전거 역시 충전을 위한 거치대 및 전기 배터리 유지보수와 관리 교체 등 관리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아이템이 되기 힘든 구조다.

중국 정부의 공유자전거 규제가 강화되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도로 곳곳에 무단방치된 자전거 탓에 보행자들의 불편과 사고가 잇따르면서 자전거 배치 및 관리에 대한 규제가 깐깐해졌다. 해외 선진국에선 현재 중국내의 관리방식을 도입했다간 엄청난 벌금폭탄을 맞아 업체가 파산할 수밖에 없다.
반면, 공유자전거 시장을 몰락으로 볼 게 아니라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공유경제의 승부처는 결국 가입자와 빅데이터 확보 싸움이다. 공유자전거 시장이 사업성 관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었지만 가입자 확보면에선 다른 업종의 부러움을 샀다. 새로운 거대 시장을 만들려는 업체가 공유자전거 업체의 거대 가입자를 거머쥐는 순간 시장 주도자가 될 수 있다. 차량공유 업체들이 이같은 공유경제의 생리를 눈치채고 공유자전거 업체 싹쓸이에 나섰다. 시장 선점을 위해 망해가는 공유자전거 업체들을 인수해 가입자를 확보하는 식이다. 차랑공유 사업과 공유자전거의 연계시너지 효과까지 '일석이조'인 셈이다. 대표적 공유자전거 업체인 모바이크는 중국 온라인 배달 업체인 메이투안 디엔핑(美团点评)에 넘어갔다. 이 회사는 본업외에 공유자동차 서비스도 론칭했다. 중국 최대 차량공유업체인 디디추싱은 블루고고를 인수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는 오포를 인수하려다 실패하자 직접 공유자전거 사업에 뛰어들었다. 알리바바 그룹의 앤트 파이낸셜이 대주주인 업체가 헬로바이크로 업계 3위로 도약했다. 알리바바는 차량공유서비스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파산 직전인 오포 역시 가입자 확보 경쟁력이 뛰어나 매력적인 인수 매물로 꼽힌다. 공교롭게도 공유자전거 업체를 인수한 곳들이 모두 차량공유사업과 직간접적 연관성이 있다. 지금은 공유자전거가 몰락했다는 관점보다는 공유경제 산업이 변하는 과정으로 공유차량 업체들이 시장 선점을 노리기 위해 가입자를 대거 확보한 공유자전거업체들을 인수하는 전략에서 공유경제에서 살아남기 위한 경영노하우를 배우려 하고있다.


2015년 공유 자전거를 시작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공유 경제'는 중국에서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2017~2018년은 중국 공유경제 산업의 '폭발기'라고 할 정도로 공유 비즈니스가 급성장했다. 공유 자전거, 공유 자동차, 공유 충전기, 주택 공유, 공유 세탁기 등 거의 모든 산업에 '공유' 두 글자가 따라붙을 정도로 '공유 서비스' 모델이 빠르게 확산됐다.
시장의 자금도 공유 서비스 스타트업으로 몰렸다. 텐센트, 씨트립,퀄컴 등 내로라할 대형 투자사도 앞다퉈 공유 산업에 투자했다. 오포(OFO), 모바이 등 대표적인 공유 서비스 스타트업은 E시리즈 융자까지 진행할 정도로 투자금이 넘쳐났다.

그러나 불과 3년도 되지 않아 공유경제 산업 열풍이 식으며 관련 업계가 고전하고 있다. 공유 자전거로 중국의 공유산업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창업 신화의 모델로 평가받았던 오포는 극심한 자금난을 겪으며 '공유경제의 몰락'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전락했다.

'공유경제'의 거품 붕괴를 알리기 시작한 것은 오포(OFO)의 자금 체납 사건이었다. 2018년 9월 오포는 자전거 공급상 펑황(鳳凰)자전거에게 자전거 대금을 지불하지 못해 고소를 당했다. 이후 양측이 잠정 화해하며 사건이 일단락되는 듯했지만, 오포로부터 대금을 회수하지 못한 펑황자전거는 올해 실적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오포가 협력업체에 체납한 대금은 4500만 위안(약 77억원)에 달한다.

여기에 공유 자전거 수요가 줄어들면서 오포는 보증금 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올해 1~3월까지 오포의 보증금 환급을 신청한 소비자는 1300만 명이 넘는다. 그러나 세 달 동안 보증금을 돌려받은 소비자는 72만명에 불과하다. 이 같은 속도라면 환급금을 모두 지급하는 데 수 년이 걸릴 수 있다. 문제는 보증금 환급을 원하는 소비자가 1000만 명이 더 있다는 점. 설상가상으로 오포는 해외시장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싱가포르 정부는 오포의 영업허가를 취소했다. 싱가포르 시장에서 방출된 것. 여기저기 방치된 오포 자전거가 화근이었다.

공유 서비스의 위기는 자전거에 그치지 않는다. 중국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현재 이미 절반 이상의 '공유 서비스' 기업이 문을 닫았다.

공유경제의 이처럼 빠른 몰락은 ▲ 사업방식과 서비스의 혁신 부족 ▲ 과도한 경쟁과 문어발식 확장 ▲ 공유경제에 대한 식상함과 피로감 누적 등 원인으로 분석된다.

중국식 공유 경제의 문제점은 처음부터 많은 지적을 받아왔다. 모바일 기기와 QR코드를 사용하고, '공유 사용'이라는 새로운 콘셉트를 입혀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처럼 포장을 했지만 사실상 기존의 렌탈 사업과 큰 차이가 없었다. 기존의 개인 유휴 자원을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공유 경제와 본질이 달랐다.

여기에 과도한 경쟁으로 인한 출혈 경쟁이 업계의 위기를 부채질했다. 중국의 많은 공유 서비스 기업은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해 저가 경쟁을 벌이고, 시장 확장을 위해 무리하게 사업 규모를 확장했다. 외형은 늘리는데 성공했지만 수익을 내지 못해 결국 부도에 직면하게 됐다.

공유경제에 대한 피로감도 시장 위축의 한 요인이다. 공유 서비스 초기에는 신선한 소비 방식에 소비자들이 큰 관심을 보였지만, '공유' 개념이 범람하고 서비스에서 이렇다 할 혁신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소비자들이 외면하기 시작한 것.

서비스에 대한 불만도 커졌다. 공유 자전거의 경우 사용 후 아무 곳에서나 주차가 가능했는데, 여기저기 자전거가 방치되면서 사회 문제가 되기도 했다. 고정 주차 시설이 없다 보니 업체가 자전거 관리를 하기가 어려웠다. 그 때문에 고장이 나거나 문제가 있는 자전거가 많아 소비자들이 이용에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아졌다.

시장 전문가들은 ▲'공유 산업'을 내세운 수많은 중국 기업이 사실 '공유 경제'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유행에 편승에 시장에 뛰어들었고▲이로 인해 정확한 시장의 방향성을 잡지 못했으며 ▲ 서비스와 상품의 혁신을 게을리하면서 '공유 산업'이 몰락의 길을 걷게 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