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모바일 페이, 간편결제 시스템이 뜬 이유
자본주의 사회는 돈으로 움직인다. 천문학적 금액이 오가는 금융거래는 말할 것도 없고 일상의 경제활동에도 모두 돈이 매개된다. 그러나 범죄에 쓰이는 게 아닌 뭉칫돈은 전산망 기록으로만 존재하게 된 지 오래됐다. 지폐와 동전 등 현금을 쓰는 기회도 예전보다 현격하게 줄었다. 인터넷, 나아가 모바일 기술이 발달하면서 개인 일상에서도 현금의 입지는 급속히 작아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금융거래가 손 안에서 해결된다. 스마트폰으로 온라인쇼핑, 송금에서 예금, 대출, 투자까지 가능한 시대다. 모바일 페이가 현금과 신용카드를 밀어내고 통합 결제 솔루션이 되는 마지막 단계만 남겨놓고 있다. 식당에서 밥을 먹거나 마트에서 장을 보는 일상의 모든 지급 행위를 스마트폰 하나로 해결하는 것 말이다.
‘카드 대국’ 한국에서는 결제 비중이 90%에 이르는 신용카드의 아성을 모바일 페이가 어떻게 무너뜨릴 것이냐가 주목된다. 신용거래 기반이 약한 중국에서는 페이가 이미 대세를 장악했다. 간편결제 종주국인 미국에선 샌프란시스코 등 기술 발달 지역부터 페이가 개인 수표(체크)와 카드를 서서히 대체해나가고 있고, 현금 사랑이 유독 강한 일본에서는 페이 공세가 본격화했다.
정보기술(IT) 발달과 더불어 스마트폰이 수많은 서비스 영역을 잠식해온 점에 비춰, 모바일결제 확산은 불가피해 보인다. 나라마다 속도 차이가 있지만 페이의 지속적 성장세는 분명하다. 세계 모바일결제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30%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인도와 아프리카 등 신흥국은 중국처럼 신용카드 단계를 건너뛰고 현금에서 모바일로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사용자에겐 현금과 몇 장씩 되는 신용카드, 다양한 포인트 카드를 지갑에 넣어 다니며 장소에 따라 골라 꺼내는 것이 몹시 번거롭다. 어디서든 쓸 수만 있다면, 앱 하나로 처리 가능한 페이의 매력을 떨치기 힘들다. 온라인 거래에서 보안을 위해 카드 유효기간과 본인 확인 등을 거치는 것보다 지문·홍채 인증이 간편하고 안전하다. 일반 가게에서도 수수료와 현금흐름 등의 측면에서 페이 결제가 카드보다 낫다.
모바일 페이 경쟁에는 세계 주요 IT 기업이 모두 뛰어들었다. 미국의 구글, 중국의 알리바바·텐센트, 일본의 소프트뱅크·라인 등 서비스 업체와 삼성·애플 등 기기 업체, 페이팔 같은 온라인결제 업체가 망라됐다. 은행과 카드사 등 금융기관도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모바일 페이가 국경을 자유롭게 넘나들 날이 멀지 않아, 페이 경쟁은 글로벌 차원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모바일결제 플랫폼은 다른 어떤 디지털 플랫폼보다 강력하다. 단순한 간편결제만이 아니라 모든 금융거래가 가능한 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의 돈이 이동하는 주된 통로가 되는 것이다. 대규모 사용자 기반만 확보하면 금융서비스와 광고, 고객 알선 등 다양한 사업이 가능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이런 이유로 국제적 협력과 경쟁도 활발하다. 한발 앞선 중국의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각각 일본의 페이페이, 라인페이와 손을 잡았다. 상대국 협력사 가맹점에서도 자국 모바일 페이로 대금 결제를 할 수 있다. 위챗페이는 한국의 네이버페이와도 제휴 관계를 맺었다. 페이페이를 설립한 소프트뱅크가 알리바바그룹의 대주주이며, 일본 라인의 모회사가 네이버라는 점에서 이런 구도는 자연스럽다. 모바일 페이로 최고의 금융 플랫폼 자리를 장악하려는 글로벌 IT 거물들의 ‘쩐의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중국에서 모바일 페이가 뜬 이유는 여러가지를 들 수 있다. 통신과 신용카드 인프라가 중국에서 제대로 깔리지 않아서, 또는 위조지폐 거래를 막기 위해 모바일결제가 활성화됐다는 분석들도 일견 맞는 말이다.
“신용카드는 부자를 위한 것이고, 모바일결제는 가난한 사람을 위한 것이다.” 마윈 알리바바 회장이 2019년 1월24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한 말이다. 이 발언은 중국에서 모바일결제가 신용카드를 이겼다는 자신감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이 말에서 한국·미국·일본과 달리 중국에서 모바일결제가 큰 폭으로 성장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알리페이’(중국 이름 즈푸바오·支付宝)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이 서비스한다. 알리바바는 항저우에서 마윈이 세운 회사다. 알리바바는 티몰·타오바오 같은 자사 온라인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해 2004년 알리페이를 내놓았다. 처음에는 온라인 서비스만 제공했지만, 2009년부터 오프라인 상점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중국에서 모바일결제가 활성화한 이유는 중국인과 중국문화 특성을 잘 분석해 사업으로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선 현금거래를 선호해왔다. 중국인은 모르는 사람과 거래하기를 꺼린다. 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한 관시사회여서다. 신용카드는 이런 중국문화를 뚫지 못했다. 중국인은 현금이 아닌 신용을 바탕으로 한 카드를 믿지 못하는 것이다. 게다가 신용카드를 발급하려면 개인신용을 평가해야 하는데, 10억 명 넘는 사람을 신용평가하기란 그리 녹록지 않은 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마윈은 알리바바 쇼핑몰에 에스크로(Escrow) 서비스를 중국에서 처음 선보였다. 에스크로는 고객이 쇼핑몰에서 결제해도 대금이 곧바로 판매자에게 가지 않고, 쇼핑몰에서 돈을 보관하다가 고객이 구매를 확정하면 판매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로, 한국은 통신판매의 활성화와 소비자 안전을 위해 2005년 3월 개정된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 의해 전자통신판매업자가 전자통신 거래의 안전장치로써 에스크로, 보험계약, 채무지급보증계약, 공제계약 등 4가지 중 하나를 반드시 이용토록 의무화했고 당시 중고품 거래 플랫폼이던 옥션이 이제도를 도입함으로 활성화 됐다.
레이철 보츠먼 영국 옥스퍼드대학 경영대학원 교수는 저서 <신뢰 이동>에서 “관시의 중국 사회에서 모르는 사람과 온라인에서 거래하게 만든 건 마윈이 IT 기술을 통해 중국을 ‘불신사회’에서 ‘신뢰사회’로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모바일 페이도 마찬가지다. 중국에서 모바일결제를 하려면 계좌에 잔고가 있어야 한다. 외상거래를 하기 힘들다. 신용 없는 중국 시장에서 정보기술(IT) 힘을 빌려 신용을 만들어낸 게 모바일 페이인 셈이다.
중국의 ‘자영업 사장님’에게들에게도 모바일 페이는 신용카드보다 훨씬 더 매력적인 결제 수단이다. 신용카드는 고객이 결제한 금액을 최대 90일이 지나야 받을 수 있었는데, 모바일 페이는 바로 결제할 수 있어 현금흐름을 유지할 수 있고 수수료 측면에서도 더 유리하다. 알리페이의 수수료가 0.35%로 신용카드의1.5%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한국에선 수수료(연매출 8억원 이하)가 신용카드 0.8∼1.4%, 직불카드 0.5∼1.1%, 제로페이 0%다. 손님이 모바일 페이를 많이 쓰면서 매장 계산대 직원 수도 신용카드 결제율이 높았을 때보다 줄일 수 있다.
중국의 모바일 결제시장은 알리바바의 즈푸바오와 텐센트가 내놓은 모바일결제 서비스 ‘위챗페이’(웨이신즈푸·微信支付)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텐센트는 2011년 한국의 카카오톡 같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인 위챗(微信,웨이신)을 선보인 뒤, 2013년 위챗페이를 내놓았다.
빅데이터 업체 이관(易观) 자료를 보면, 2018년 4분기 중국 간편결제 서비스 시장점유율은 알리페이가 53.78%를 기록해 선두 자리를 지켰다. 위챗페이는 38.87%로 점유율 2위였다. 알리페이가 압도적인 우위를 지켰으나, 위챗페이가 무서운 속도로 점유율을 높여나가고 있다. 2015년만 하더라도 알리페이 68.4%, 위챗페이 20.6%였다.
두 회사는 중국에만 머무르지 않고 국외로 사업을 확장하는 것도 공통점이다. 2017년 2월 알리페이를 서비스하는 앤트파이낸셜은 카카오페이에 2억달러(약 2258억원)를 투자했다. 위챗페이 역시 네이버와 전략적 제휴를 하고 위챗페이·네이버페이·라인페이 이용자가 서로 다른 지역에서 페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경쟁의 결이 다른 점도 보였다. 알리페이와 위챗페이의 경쟁은 우리나라에서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의 경쟁과 비슷한 모양새다. 네이버가 온라인에 무게중심을 두고 오프라인으로 넓혀가려고 한다면, 카카오페이는 모바일에 강점을 둔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온라인으로 확장하고 있다. 알리페이 역시 계열 쇼핑몰 타오바오·티몰 등을 바탕으로 오프라인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위챗페이는 개인 소액결제를 기반으로 온라인으로 사업을 넓혀가고 있다.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단순한 결제 기능을 넘어 문화·금융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모바일 플랫폼으로 거듭나려고 준비하고 있다. 단순 결제 서비스를 비롯해 예약·티켓 구매·공과금 납부·금융·배달·여행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속속 선보이는 것이다. 이런 서비스를 위해 은행·보험·배달·운송 등 기업과 함께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처럼 금융과 기술이 융합한 핀테크(Fintech)는 중국에서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발전·진화할까. 그동안 중국 정부는 은행권의 반발에도 IT와 전통산업 융합으로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을 만드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핀테크 산업에 대한 중국의 기본정책 방향은 먼저 산업을 발전시키고 문제가 일어날 경우 규제나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