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5년 중국경제 25년만에 최저치 기록


2015년 중국 경제가 6.9% 성장하는데 그치면서 4반세기만에 처음으로 성장률 7%대 벽인 '바오치'(保七) 시대가 막을 내렸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9일 기자회견을 열어 2015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이 67조6천708억 위안으로 2014년에 비해 6.9%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당초 목표로 제시했던 7.0%에 못 미치는 것이고 전년 성장률 7.4%에 비해서도 0.5% 포인트나 하락한 것이다.
1989년 '톈안먼(天安門)사건' 발생 이듬해인 1990년 3.8% 이후 2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이기도 하다.
중국이 7%대 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던 '바오치'(保七) 시대에서 물러나 7%대가 깨지고 6%대 수성을 위해 공을 들여야 하는 '포치'(破七), '바오류'(保六) 시대로 접어든 셈이다.
지난해 1차산업 GDP 증가율은 3.9%로 전년보다 0.2% 포인트 줄었고 2차산업 증가율은 1.3% 포인트나 빠진 6.0%를 기록했다. 다만 3차산업은 8.3%로 전년 증가율보다 0.2% 포인트 늘었다.
중국 정부의 소비, 서비스업 중시 정책에 따라 3차 산업이 성장률을 견인했으나 목표치인 7% 수성에는 실패했다.
특히 중국의 작년 4분기 GDP는 전년 동기보다 6.8% 늘어나 2009년 1분기(6.2%) 이후 거의 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 경기둔화 추세가 분명해졌다.
이는 시장 전망치(6.9%)와 전분기 성장률(6.9%)을 밑돈 수치다.
지난해 중국의 분기별 GDP 증가율은 1분기 7.0%, 2분기 7.0%, 3분기 6.9%, 4분기 6.8%로 지속적인 하강세를 탔다.
황바오안(王保安) 국가통계국장은 기자회견에서 "6.9%는 낮지 않은 성장속도"라며 "이 수치를 달성하기도 쉽지 않으며 전 세계 국가 중에서도 가장 높은 성장률"이라고 주장했다.
세계경제 성장에 대한 중국의 기여도는 25%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면서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여전히 미진하고 경제형세가 복잡다단해진 가운데 국제무역 환경도 하락세를 타고 있고 금융리스크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점이 성장 둔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작년 연간 산업생산은 전년보다 6.1% 늘어나 전망치와 일치했다. 다만 주식회사제 기업의 산업생산이 7.3% 늘어났을 뿐 외국계 및 홍콩, 대만계 기업 생산 증가율은 3.7% 늘어나는데 그쳤고 국유기업 생산은 1.4%로 평균에 훨씬 못 미쳤다.
아울러 중국의 지난해 고정자산 투자액은 55조1천590억 위안으로 전망치(10.2%)를 밑도는 10.0% 증가율을 기록했다.
부동산 개발 투자액이 9조5천979억 위안으로 1.0% 늘어나는데 그치며 사실상 정체 상태였던 점의 영향이 컸고 2차산업 투자액은 8.0%, 3차 산업 투자액은 10.6% 각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외무역 분야의 하락이 성장률을 잠식했다. 지난해 수출입 총액은 24조5천849억 위안으로 전년보다 7.0%나 급락했다.
이 가운데 수출은 14조1천357억 위안으로 1.8% 줄었고 수입은 10조4천492억 위안으로 13.2% 하락했다. 무역수지는 3조6천865억 위안의 흑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사회소비품 소매 판매액(소매판매)은 30조931억 위안으로 10.7% 증가해 전년 12.0% 증가에 이어 안정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이는 전망치와 일치한다.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년보다 1.4% 증가해 안정을 유지했으나 식품 2.3%, 의류 2.7%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12월 말 현재 중국의 통화량((M2, 광의통화 기준) 잔액은 139조2천3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3% 늘어나 지난해 중국의 양적완화 수준을 가늠케 했다.
중국의 도시주민 1인당 가처분 소득은 2만1천966위안으로 명목상 8.9% 높아졌는데 도시주민 소득은 8.2%, 농촌주민 소득은 8.9% 각각 늘어나며 도농 소득격차가 소폭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말 기준으로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한 중국 대륙의 총인구는 13억7천462만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680만명 늘었다.
전국의 취업인구는 7억7천451만명으로 전년 말에 비해 198만명이 늘었고 이중 도시 취업인구는 4억410만명으로 집계됐다.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중국 국민경제는 합리적 구간에서 운행된 가운데 경제구조의 고도화 및 산업개편에서 성과를 거두고 신성장 동력에 대한 자본축적이 진척되면서 민생 수준이 한층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국외 경제환경이 여전히 어려운 상황에 있고 중국 내 경제 구조개편 작업이 언덕을 오르며 고비를 맞고 있어 개혁심화 과정이 한층 어려워질 수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http://news.sina.cn/gn/2016-01-19/detail-ifxnqrkc6639356.d.html

과거 중국 성장은 무역이 이끌었다. 그러나 2015년 중국 무역 규모는 24조5849억위안으로 전년보다 7% 줄었다. 무역액 감소는 6년 만에 처음이다. 세계경제 회복세가 미진한 영향이 컸다. 중국은 성장 엔진을 수출에서 소비로 바꾸려고 하지만 시간이 걸린다. 중국 GDP의 15%를 차지하는 부동산 시장이 침체한 것도 성장의 발목을 잡았다. 지난해 부동산 개발 투자는 1% 증가에 그쳐 2014년 7% 증가와 비교하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중국 기업의 부채가 계속 늘어나고, 영업 이익이 쪼그라드는 것은 경기 회복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는 "중국 기업 부채는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연평균 20% 이상 늘어 중국을 제외한 신흥국 전체 기업 부채 증가 속도인 9.3%를 크게 앞섰다"고 전했다. 반면 중국 기업의 영업이익은 갈수록 감소해 빚을 갚을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 작년 2분기 중국 비금융 상장사 영업이익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3% 줄었다. 빚을 내 이자 갚는 단계에 접어든 기업이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곧바로 이들 기업에 대한 구조 개혁에 들어가면 경제 성장이 둔화할 수 있다. 다일리 왕 루비니 글로벌 이코노믹스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구조 개혁과 경제 성장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금리도 중국 정부의 딜레마다. 금리를 내리면 자본은 더 빠져나가고, 투자는 더욱 위축될 수 있다. 그렇다고 금리를 인상하면 기업 부채가 더욱 증가해 실업이 속출할 우려가 있다. 올해도 중국경제는 과잉 생산과 제조업체 이윤 하락, 불량 채권 등으로 하강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