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가구들의 칫수에 들어가 있는 또 다른 의미
명나라 때에 쓰였다는 ‘노반(鲁班经)’이라는 책이 있다. * 노반(鲁班/기원전 507~444년)은 춘추시대 노(鲁)나라 사람이다. 공수반(公輸班)이라고도 부르며, 수많은 공구들과 기계, 무기 등을 발명하여 중국 건축의 비조(鼻祖), 중국 목장(木匠)의 비조로 추앙받고 있다. 이 책은 건축에서 목공에 이르는 민간의 각 분야 장인(匠人)들의 업무용 지침서라고 하는데, 이 책의 가구 제작 관련 부분에는 이런 말이 있다고 한다. “등자(凳子, 등받이 없는 의자)는 3을 떠나면 안 되고, 문은 5를, 침상은 7을, 관은 8, 탁자는 9를 떠나서는 안 된다.” 옛날 목공 장인(목수)들도 제자들에게 기술을 전수하면서 항상 이러한 말을 했다고하는데, 물건들의 구체적인 치수(尺寸)를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며 같은 음의..
더보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