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 민주당의 고발로 시작된 매크로를 활용한 네이버 댓글 조작사건의 범인 드루킹이 경찰에 붙잡혔고, 이어서 민주당원인 드루킹과 문재인 대통령의 심복중의 심복 김경수의원의 비밀스러운 접촉이 있었음을 TV조선이 밝힘으로 큰 파문을 낳고 있다.
1. 국가기관에 의한 댓글 조작과 차원은 물론 다르지만, 누가 했든 조직적인 댓글 조작 행위는 민주주의 파괴 행위라는 점에서는 마찬가지로 용납해서는 안될 범죄행위다. 여야 그리고 보수-진보 불문 하고 이런 행위는 단죄해야 한다. 이 또한 진영논리로 접근해서는 안될 문제다.
2. 드루킹 등의 댓글 조작 행위가 대선 이후에만 있었던 것이 아닐테니, 대선 이전에는 이들이 매크로를 사용하여 무엇을 했을까를 묻는 것은 상식적인 질문이다. 이들이 도대체 무엇을 했길래, 대선 후 김경수 의원에게 ‘무리한 대가 요구’를 했던 것일까. 보답을 요구할 정도로 이들이 쌓았던 '공'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그동안 이들, 그리고 또 다른 드루킹들이 했던 범죄행위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3. 김경수 의원 부분은 (김 의원의 설명대로) 드루킹이 자신들의 공로를 알리는 메시지를 일방적으로 계속 보내왔다 하더라도, 그에 대해 김 의원이 어떤 반응 혹은 신호를 보였는지는 매우 민감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최소한 온라인 여론 조작 행위를 알고도 묵인하는 수준만 되었더라도 책임이 따르는 문제이다. 지켜보는 입장에서는 수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뭐라 예단하기 어렵다. 경찰 수사에서 주고받은 문자에 대한 확인이 당연히 이루어졌을 것이니, 있는 그대로 투명하게 국민에게 알려야할 부분이다.
4. 언젠가는 한번 터질 문제라고 많은 사람들이 우려해왔다. 결국 터질 것이 터진 거다. 온라인을 장악하고 여론조작 행위를 하는 사람들이 문재인 대통령 지지층 가운데 제일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했던 현실이 문재인 정부에게 도움이 될 리 없다. 그런데 그동안 그러한 층을 향해 경고의 신호를 보내거나 분리시키지 않고 그들의 등에 업혀 정치를 하는 모습을 보여온 것이 사실이다. 자기 편 안에 있었던 그런 적폐를 도려내지 않고서 다른 적폐만 청산하려는 것은 모순이다. 문재인 정부 스스로의 손으로 한 점 의혹 없이 선명하게 매듭짓기 바란다. 적당히 넘어가면 시간이 흐른 뒤에라도 두고두고 문제가 될 사안이다. 문재인 정부는 드루킹들과 같은 민주주의 파괴자들과 결별하는 신호를 이제는 분명히 보여주어야 한다.
인터넷이 일상화되면서 모든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들이 많이 생겨났다. 특히 과거 여론 형성의 주체였던 올드매체들이 퇴조하고 일반 소비자, 네티즌 들이 시장의 주인으로 떠오르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소비자의 생각이 기업의 생산에 작용하기도 하고 소비자의 작은 평가 하나로 시장에서 성공의 키워드가 되기도 한다.
인터넷 공간에서 댓글이 회원들 또는 불특정 다수의 소비자들 사이에 각종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중요 수단이 되면서 기업을 일방적으로 대변하는 조작적, 작위적 댓글이 문제가 되고 있다.
댓글은 다들 아시다시피 “대답하다, 응수하다”를 뜻하는 영어 단어 '리플라이(reply)'의 우리말 용어다. 이제는 “댓글 문화”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인터넷에서의 댓글은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까지 자리잡았다. 댓글 문화는 그동안 상대적 약자였던 소비자들에게 다른 다수의 소비자들에게 자신의 의견이나 주장을 마음껏 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기도 하지만 앞서 말씀 드렸듯이 조작이라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따라서 이제는 댓글이 진정한 소비자인지 기업에 고용된 거짓 소비자인지를 볼 수 있는 능력까지도 요구하고 있다.
자신의 불만을 토로하거나 악의적으로 남을 공격하는 “악플(악성댓글)” 도 문제이지만 기업에 고용된 “선플(악플의 반대 개념)”도 여론을 호도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댓글은 다양하고 자유로운 의견 표출의 장으로 자리를 잡은 만큼 더 다양한 대화와 논리적 토론의 장으로 자리잡도록 모두의 노력과 진실이 필요하다.
중국에는 “우마오당(五毛党)”이라는 조직이 있다. 우마오당이란 중국 정부를 옹호하거나 정부 정책을 선전하는 댓글을 올리는 대가로 1건당 5마오(5마오는 0.5위안, 한화 약 86원정도)의 돈을 받는 사람들을 말한다.
우마오당이란 말은 2004년 중국의 한 언론매체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후난(湖南)성 창사(长沙)시의 한 부서가 시 정부의 정책을 옹호하는 댓글을 올리는 사람들에게 월 600위안의 봉급과 1건당 우마오를 지급했다는 보도가 나온 이후 이 말은 널리 확산됐다.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SCMP)등 홍콩언론들은 이들이 중국 당국으로부터 건당 얼마씩의 돈을 받고 댓글을 올리는 아르바이트 수준 정도가 아니라 정부 및 기관의 당원 가운데 선발된 인재들이 모여 있는 정예 당원들이라고 심층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우마오당은 이제 공산당이나 정부가 직접 나서서 댓글을 관리해야 할 정도로 인터넷상에서의 댓글의 파워가 얼마나 커졌는지를 실제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댓글은 자유로움(비통제성)과 진실이라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을 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그리고 그런 진실성이 있어야 기업이나 국가의 발전이 있다. 잠시의 여론이나 제품 판매에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오랫동안 진실로 자리를 잡지는 못한다. 그럴 경우 분명한 사실은 조작하지 않으니 만한 역효과를 가지고 오게 되어 있으며 조작에 대한 진실을 회복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는 점이다.
인터넷의 또 다른 특징은 확산의 속도다. 소비자들이 또는 국민들이 댓글을 퍼 나르는 속도는 오프라인에서의 입소문과는 그 시간과 질의 차이가 비교가 되지 않는다. 더군다나 데이터베이스 기술과 검색 기술의 발달로 진실과 조작을 구별해 내는 능력도 훨씬 높아지고 있다. 네트워크 군대(network army, 휴대전화나 인터넷, 트위터, 블로그 등 모바일과 인터넷의 각종 정보화 수단들로 무장한 군대의 수준의 일반 네티즌, 촛불시위 때의 군중)들이 언제나, 어디서나 눈에 불을 켜고 진실과 조작을 감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작된 댓글은 잠시이지만 진실은 영원히 존재한다는 단순한 진리를 세기며 그릇된 인터넷 문화를 답습하는 우를 범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조작
'政'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모든 것의 시작은 시진핑이다 (0) | 2018.04.20 |
---|---|
중국발레 홍색낭자군 (0) | 2018.04.19 |
아무도 평화로운 한반도를 원하지 않는다 (0) | 2018.04.11 |
8명의 미국대통령에게 자문한 중국의 용부인 (0) | 2018.04.05 |
중국 유력매체, 쑨정차이의 스폰서 돤웨이훙 실종기사 삭제 (0) | 2018.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