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신속한 발전은 인류 사회 생활과 세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중국은 인공지능 발전의 중대한 기회를 거머쥐고, 선도적 우세를 확보해 혁신형 국가와 세계 과학기술 강국을 건설한다. 이를 위한 당중앙, 국무원의 요구를 본 계획에 담았다.
1. 전략 태세
인공지능 발전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 약 60여년의 발전 과정 중 최근에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모바일 인터넷, 빅데이터, 슈퍼컴퓨팅, 센서네트워크, 뇌과학 등 신 이론과 신 기술이 등장한 덕이다. 또한, 경제사회 발전의 강렬한 요구로 인해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딥러닝, 영역 간 융합, 인간-기계의 교류, 집단 지능의 개방, 자동제어 등이 대표적이다. 새 시대의 인공지능과 연관이 있는 학과의 발전, 이론의 모델링, 기술 혁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등 전체적인 방면에서의 추진으로 인해 경제사회의 각 영역이 디지털화, 인터넷화를 이루며, 스마트화를 위해 뛰어오르고 있다.
인공지능은 글로벌 경쟁의 새로운 화두가 됐다. 인공지능은 미래전략성 기술이며, 선진국들 역시 인공지능을 국가 안전의 중대 전략 삼아 국가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관련 계획과 정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핵심 기술과 인재, 표준 규범 등을 만들고 있다. 새로운 글로벌 과학기술 경쟁력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것이다.
현재 중국 국가 안전 및 국제 경쟁 형세는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세계의 변화에 이목을 집중해야 하며, 인공지능을 국가 전략의 위치에 배치해 주도적인 계획을 해야 한다. 인공지능의 발전을 쥐어서 국가를 이끌어야 하며, 새로운 경쟁 구도에서 우세를 쥐며 기회를 발견하며, 국가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
인공지능은 경제발전의 새로운 엔진이 됐다. 이는 새로운 산업 변혁의 핵심 구동력으로서 현재까지의 과학 기술 혁명과 산업 변혁 축적의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엔진을 만들어냄으로써 생산, 분배, 교환, 소비 등 경제활동의 각 영역을 재구성하게 될 것이다. 거시, 미시 각 영역의 스마트화에 대한 수요를 형성해 새로운 기술, 제품, 산업, 업태, 모델을 촉진하며, 경제 구조의 중대한 변혁과 인류 생산 생활 방식과 사고방식을 깊은 차원에서부터 변화시켜 사회 생산력의 전반적인 도약에 기여한다.
중국 경제 발전은 새로운 상태, ‘신창타이(新常态)’에 진입했다. 공급 구조를 개혁하는 업무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빠르게 인공지능을 각 영역에 도입해야 하며, 관련 산업을 융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국 경제 발전에 새로운 에너지를 주입해야 한다. 인공지능은 사회 건설의 새로운 기회를 만들고 있다. 중국은 전면적으로 소강사회(小康社会; 중류 수준의 사회)를 건설하는 절정에 다다르고 있다. 인구는 노령화되고, 자원 환경의 속박 등 각처에서 중대한 도전을 받고 있다. 인공지능은 교육, 의료, 노인 부양, 환경보호, 도시 운행, 사법 서비스 등 광범위한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공 서비스의 정밀화를 구축하며 인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감지, 예측, 경보 등의 기초 설비와 사회 안전 운행의 중대한 태세에 꼭 맞아 떨어졌다. 실시간으로 집단 인식과 심리 변화를 파악해, 능동적으로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해 사회 관리의 수준을 제고하며, 사회 안정의 측면에서 대체불가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 발전의 불확정성은 새로운 도전으로 다가온다. 기존 체계를 전면적으로 뒤엎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직업의 변화를 가져오며 법률, 사회 이론, 각 개인의 사생활 침범 등과 충돌한다. 대외적으로는 국제 관계 규범 같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정부 관리, 경제 안전과 사회 안정, 더 나아가서는 전세계적인 생산 관리에 크나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은 물론, 이러한 기술이 가져올 도전과 위험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문제가 생길 것에 대해서는 미리 예방을 해야 하며 위험성을 낮춰야 한다.
중국은 인공지능 기술의 우수한 기반을 갖고 있다. 국가 단위 스마트 제조와 같은 연구개발 계획 전문 항목이 있다. 특히, 인터넷 플러스는 앞으로 3년의 인공지능 행동 방안을 선언했다. 그리고 기술 연구개발, 확대 적용, 산업 발전 등의 방면에서 일련의 조치를 제시했다. 중국은 다년간의 기술 누적을 통해 스마트 화 영역에서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 과학기술 논문 발표 및 특허 등록은 이미 세계에서 2위다. 각 영역에서 핵심 기술은 이미 주요한 돌파를 달성했다. 음성 식별, 컴퓨팅 시각화 기술은 세계에서 가장 앞서고 있으며, 자가학습, 직관감지, 종합추리, 혼합지능 및 집단 지능 등의 영역은 초보적인 단계를 뛰어 넘었다. 중문 정보 처리, 스마트 제어, 생체 인식, 공업 로봇, 서비스 로봇, 무인차 등은 점차 상용화의 단계에 진입했다.
동시에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중국 인공지능의 전체 발전 수준과 선진국 간의 차이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이다. 성과가 부족하며, 기초 이론, 핵심 알고리즘, 관련된 설비, 첨단칩셋, 제품 및 시스템, 기초 리소스, 소자, 소프트웨어, 연결포트 등의 차이는 여전히 크다. R&D조직과 각 기업들은 아직 전세계 단위의 영향력을 줄만한 생태계와 산업사슬을 갖추지 못했으며, 현재의 수준을 뛰어넘는 연구 구도 역시 부족하다. 인공지능 관련 인재 역시 수요를 채우지 못하고 있으며, 적합한 설비, 정책규범, 표준시스템 역시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형세에 따른 수요에 직면하여 주도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인공지능 발전의 중대한 역사적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발전의 연결고리를 파악해야 하며, 대세 기술을 연구, 주도적인 계획, 발전 방향의 포착, 민첩한 반응 등 글로벌 인공지능 발전의 신조류를 선도해야 한다. 경제사회 발전과 국가 안전을 동시에 도모해 국가 경쟁력의 전반적인 향상과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
2. 총체적인 수요
2–1. 사상지도
당의 삼중, 사중, 오중, 육중 전회(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의 정신을 전면적으로 관철하여 시진핑 총서기가 연설한 국정운영의 새로운 이념, 사상, 전략을 깊이 있게 학습해야 한다. 그리고 ‘5위일체(경제건설·정치건설·문화건설·사회건설·생태문명건설)’, ‘4개전면(소강사회건설·심화개혁·의법치국·엄격한 당관리)에 따른 당중앙, 국무원의 책략과 구도, 혁신 구동 발전 전략을 구현한다. 인공지능과 경제, 사회, 국방의 심도있는 융합을 가속화하여, 새 시대의 인공지능 과학 기술 혁신 능력을 제고함으로써 스마트 경제의 발전과 스마트 사회의 건설, 국가의 안전을 확보한다. 그리고 지식군, 기술군, 산업군의 상호 융합과 인재, 제도, 문화가 상호 지지하는 생태계를 구축한다.
2–2.기본원칙
과학기술 방면: 글로벌 인공지능 발전 추세를 파악하고 전도있는 R&D를 추구한다. 기술의 최전방 영역을 중시하며, 장기간 지원, 이론-방법/도구/시스템 등의 방면의 변혁성, 전복성 등을 확보하는 데에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전면적으로 인공지능의 혁신성, 빠른 구축, 높은 수준의 발전을 주도한다.
시스템 배치: 기초연구, 기술R&D, 산업발전과 비즈니스 적용 등의 각각 다른 특징에 근거하여 시스템 발전 책략의 핵심을 꿰뚫는 방침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 제도에 집중된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며, 각 항목, 인재 등의 전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미 배치된 중대한 항목과 새로운 업무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당면한 긴급한 수요와 장기간의 발전을 고려해 연결해야 할 것이다. 혁신 기반을 구축하며 시스템 매커니즘의 개혁과 정책환경 조성의 두 마리 토끼를 잡아야 한다.
시장주도: 시장제도를 따르며 각 영역의 적용 방안을 지속해서 찾아야 한다. 선도적인 기업의 기술노선선택과 제품의 표준 제정 측면에 작용을 해 인공지능 과학기술 성과의 비즈니스화 및 적용을 가속화하며 경쟁에서 우세를 점하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시장의 역할을 파악해 정책적 계획과 지지, 안전방비, 시장관리, 환경조성, 이론법규제정 등의 방면에서 작용을 해야 한다.
재원개방: 공유 이념을 제창해 산학연구의 각 핵신 주체의 공동 혁신, 공동 분배를 촉진해야 한다. 경제 건설과 국방 건설의 발전 규율에 따라 군민과학기술 성과의 쌍방향적인 적용, 군민 혁신 자원 공동 건설 분배를 촉진하며 전 요소, 각 영역, 고효율의 군민의 심도있는 융합발전의 새로운 국면을 열어야 한다. 적극적으로 인공지능의 글로벌 단위 연구개발과 관리에 참여해 우세를 가져가야 한다.
2–3. 전략목표: 3가지 방향
첫째, 2020년까지 인공지능 전체 기술과 적용 측면에서 세계 수준을 선도한다. 인공지능 산업은 새로운 경제 성장점이 될 것인데, 인공지능은 민생 개선의 새로운 길을, 혁신형 국가 진입과 소강사회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할 것이다.
–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이론과 기술은 중요한 진전을 얻었다. 빅데이터, 미디어, 군중, 혼합형 증강현실, 자동제어 등의 스마트 시스템의 기초 이론과 핵심 기술이 모두 업그레이드 됐다. 인공지능 모형과 핵심 부품, 고급 설비 및 기초 소프트웨어 등 방면에서 상징적인 성과를 이뤘다.
– 인공지능 산업 경쟁력이 글로벌 수준으로 제고된다. 인공지능 기술 표준과 서비스 체계, 산업 생태계의 시작 단계를 세우고, 글로벌을 선도할만한 인공지능 중견 기업을 배양한다. 인공지능 핵심 산업의 규모는 1500억 위안을 넘어섰으며, 관련 산업 규모 역시 1조 위안을 넘어섰다.
– 인공지능 환경이 점차 최적화되고 있다. 중점 영역들에서 전면적으로 혁신 응용을 향해 문을 열어젖혔다. 높은 수준의 인재와 혁신 조직을 모으고, 각 영역의 인공지능 규범과 정책 규범을 세울 준비를 마쳤다.
둘째, 2025년까지 인공지능 기초 이론은 큰 돌파를 이루게 될 것인데, 각 기술과 응용은 글로벌 선두 수준에 올랐다. 인공지능은 중국 산업의 업그레이드와 경제 전환의 주요 동력이 됐다. 스마트 사회 건설의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이론과 기술 체계는 시작 단계다. 자가학습 능력을 지닌 인공지능은 돌파점을 만나고, 수많은 영역에서 연구 성과를 얻게 된다.
– 인공지능 산업은 글로벌 가치 사슬의 최고 단계로 진입했다. 제조, 의료, 도시, 농업, 국방 등 광범위한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핵심산업 규모는 4000억 위안을 넘어서며, 관련 산업은 5조 위안을 넘어설 것이다.
– 초기 인공지능 법률규범, 이론 범위 및 정책 체계를 구축해, 인공지능 안전평가와 관리능력을 형성하고자 한다.
셋째, 2030년까지 인공지능 이론, 기술과 적용 등의 총체적인 영역을 글로벌 수준에 도달하게 한다. 세계 주요 인공지능 혁신센터와 스마트 경제, 스마트 사회라는 명확한 성과를 얻는다. 새로운 형태의 국가에 발을 내딛으며 경제 강국의 중요한 기초를 다진다.
– 뇌 알고리즘, 스마트제어, 혼합지능 및 군중 지능 등 영역에서 중대한 돌파를 달성하며, 글로벌 인공지능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등 과학기술 방면의 비중을 점유한다.
– 인공지능 산업 경쟁력은 글로벌 수준에 다다른다. 인공지능이 생활, 사회관리, 국방건설 각 방면에 광범위하고 심도있게 적용돼 핵심 기술, 관련 시스템, 플랫폼, 적용 등 산업 사슬과 고급 산업 직군으로 확산한다. 인공지능의 핵심 산업은 1조 위안, 관련 산업은 10조 위안에 이르게 된다.
– 글로벌을 선도하는 인공지능 과학기술 혁신과 인재 배양의 기회를 형성하고, 인공지능 법률과 법규, 이런 규범과 정책 체계를 완성한다.
3. 중점임무
국가 발전의 구도에 근거하여 글로벌 인공지능 발전 태세를 준수하고, 올바른 돌파구와 공략 방향을 찾아야 한다. 전면적으로 과학기술 혁신 기초 능력을 제고하며, 중점 영역에서의 적용을 깊이와 넓이 측면에서 확산해야 한다. 그리하여 경제사회 발전과 국가 안전 측면의 스마트화 수준을 높인다.
3–1. 개방협동형 인공지능 과학기술 혁신 체계
최전방 기초 이론, 주요 기술, 기초 플랫폼, 인재 등의 방면을 보완해 오픈 리소스 형태의 공유, 시스템 강화를 촉진한다. 이를 통해 중국 인공지능 과학기술 수준을 글로벌 선두로 자리매김한다.
1)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기초 이론 체계를 구축한다
인공지능 관련 과학 영역에 산재하고 있는 문제와 관련해 당장의 수요와 장기적인 발전 방향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관련된 기초 이론의 난관을 주로 삼아 기술의 정규적인 변혁 및 학과를 넘나드는 융합을 촉진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의 지속적인 발전과 심도 있는 적용을 실현한다.
적용의 기초 이론 측면에서의 돌파해야 할 여러 난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빅데이터와 센싱 알고리즘, 인간-기계의 융합, 집단 지능, 자가 협동 및 책략 등 기초 이론 연구가 필요하다. 빅데이터 연구는 기기의 자율 학습, 종합 심도 추리 등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에 활용한다. 데이터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자연어 이해를 핵심으로 한 인지 알고리즘 모형을 이해하며, 빅데이터에서 지식으로, 지식에서 책략으로 연결되는 역량을 확보한다.
– 센싱 알고리즘: 저원가, 저에너지 기반의 스마트 센싱을 구축하며, 복잡한 상황에서의 감지, 자연환경 인식 및 언어 감지 및 다원화된 자아학습 등의 이론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 사람의 감지 능력을 넘어선 차원에 이르게 된다.
– 혼합 증강 지능 이론: 사람과 기계의 융합 및 맥락의 이해, 직관추리, 인과관계 모형, 메모리, 지식진화 등의 이론을 포함한다. 학습과 사고가 인류 지능 수준을 넘어서는 혼합 증강 지능을 이룬다.
– 집단 지능 이론: 군중의 조직, 발산, 학습 같은 이론과 방법과 관련이 있다. 집단 지능 제고를 위한 알고리즘과 모형을 구축해, 인터넷 집단 지능 이론 체계를 형성한다.
– 자가 협동 제어와 최적화 이론: 무인 체계의 협업 감지 및 교류, 자주 제어 및 최적화 전략, 사람과 기계 그리고 사물 간 협업과 조작에 관련한 이론이다. 이를 통해 자주지능 무인 시스템의 혁신성 이론 체계의 틀을 만든다.
– 이론 연구: 인공지능 변혁의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 높은 차원의 기계학습 예측, 뇌컴퓨팅, 양자지능컴퓨팅 등 영역을 넘어선 기초 이론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기계학습 이론은 정합성, 자가학습 등의 이론을 기반으로 신뢰성 있는 이해도, 광범위한 기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구현한다.
– 뇌컴퓨팅 이론: 뇌 정보의 부호화, 처리, 메모리, 학습과 추리 이론에 집중돼 있다. 이를 통해 인류 뇌의 복잡한 체계와 제어 등의 이론과 방법을 형성해 뇌컴퓨팅 알고리즘의 새로운 모형과 뇌계발의 인지 컴퓨팅 모형을 구축한다.
– 양자지능 컴퓨팅 이론: 양자 가속 기계 학습법에 집중해 고성능 컴퓨팅과 양자알고리즘의 혼합형 모델을 구축하며, 고효율의 정확도 높은 양자인공지능 시스템 구조를 만든다.
학과 간 경계를 넘어 연구를 열어젖히며, 인공지능과 신경과학, 인지과학, 양자과학, 심리학, 통계학, 경제학, 사회학과 연관된 기초 학과의 교차 융합을 이루며, 인공지능의 알고리즘, 모형의 발전과 관련된 통계학 기초 이론 연구를 강화한다. 그리고 인공지능 법률이론의 기초 이론 문제 연구를 중시해 독창성과 차별점을 강화한다. 과학자들의 자유로운 탐색과, 인공지능에 산재한 난제들에 용감히 뛰어들 수 있도록 북돋으며, 이들이 수많은 원본 이론과, 발견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주요 기술 체계
중국 인공지능은 글로벌 경쟁력 수준에 올려야 하는 절박함에 둘러싸여 있다. 데이터와 하드웨어를 기초로 하며, 식별능력 향상, 스마트컴퓨팅, 인지추리, 인간-기계 교류 능력을 중점으로 하는 개방성, 안정성을 갖춘 기술 체계를 구축한다.
스마트 컴퓨팅 엔진과 지식 서비스 기술: 지식 가공, 심도있는 탐색, 가시적 교류의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수집, 식별, 발견, 속성 예측, 변화에 대한 가설과 관계 발굴 능력을 구비한다. 또한, 수십억 규모의 리소스와 다양한 학과의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아우르며, 교차시킨 지식의 거대 지도를 만든다.
– 크로스 미디어 분석 추리 기술: 관련 이해와 지식의 발굴, 지식 지도의 구성과 학습, 지식 진화와 추리, 스마트 묘사 및 생성 같은 기술에 집중해 기존의 한계를 뛰어 넘는다. 이를 통해 관련 기술의 응용과 분석추리 엔진을 구축한다.
– 집단지능 관련 기술: 인터넷의 대중화 협업, 대규모 합작 관련 지식 자원 관리와 개방형 공유 등의 기술에 집중돼 있다. 집단 지능 뼈대를 구축하며, 관련 감지, 지식 획득 및 개방형 환경 아래의 집단 융합과 증강을 구현해 중국 내 1000만급 규모의 집단 지능 감지 영역을 포괄한다.
– 혼합 증강 지능의 새로운 구조와 기술: 사람과 기계의 협업 감지 및 일체화 모형에 중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 컴퓨팅의 새로운 센서 감응 기기로의 전환, 혼합 컴퓨팅 구조 등의 핵심 기술을 활용해 환경 적응 측면의 혼합 증강 지능 체계와 사람과 기계군의 혼합 증강 지능 체계를 구축한다.
– 무인시스템 지능 기술: 무인 시스템 컴퓨팅 구조와 복잡한 행동 패턴의 감지, 이해 및 실시간 위치 인식 등에 집중한다. 복잡한 환경에 적응성을 높이는 기술로 로봇이 스스로 차량, 선박, 내비게이션 등을 제어하는 기술이다. 서비스 로봇, 특정 종류의 로봇 등의 핵심 기술로, 무인 시스템의 응용과 산업 발전을 지지하는 데에 사용된다.
– 가상현실 기술: 대상의 지능적 행위를 가설화시키는 기술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중의 대상 행위와 소통, 다양성 및 실시간 교류의 경험을 제고하며,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과 인공지능의 결합을 추구한다.
– 스마트컴퓨팅 칩셋 및 시스템: 고효율, 가변구조형 뇌컴퓨팅 칩셋과 알고리즘을 통해 시각 감응 센싱 기술을 구현하는 데에 집중돼 있다. 관련한 R&D는 자가학습 능력의 효율화를 통해 뇌컴퓨팅 및 신경망 구조, 하드웨어 시스템을 포괄한다. 이를 통해 뇌컴퓨팅의 크로스 미디어 정보 감지 이해와 추리능력을 구현한다.
자연어 처리 기술: 어법 논리, 문자 부호 개념 및 표현과, 심도 있는 어의 분석이 핵심이다. 인류와 기계의 효과적인 교류를 추진하며, 각 언어와 영역의 자연어 이해와 자가 생성 체계를 만든다.
3) 인공지능 혁신 플랫폼 구축 계획
인공지능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여 인공지능 R&D 적용과 기초 연구에 대한 지지를 강화한다. 인공지능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 기초 플랫폼은 지식 추리, 통계 확률, 심도 학습 등 통일된 인공지능 컴퓨팅 구조를 중점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및 클라우드 컴퓨팅 간의 상호 연결된 생태계를 구축한다
– 집단 지능 서비스 플랫폼: 인터넷 기반의 대규모 합작 형태인 지식 리소스 관리 및 개방형 공유를 중심으로 한다. 이를 통해 산학 연구의 혁신 고리 및 혁신 플랫폼과 서비스 환경을 형성한다.
– 혼합 증강 지능 기반 플랫폼: 대규모로 학습된 실시간 컴퓨팅 엔진과 신형 컴퓨팅 클러스터 건립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스마트 컴퓨팅을 서비스화 하며, 플랫폼의 시스템화 및 솔루션화를 추구한다.
– 자가 무인 시스템 지지 플랫폼: 복잡한 환경 아래의 감지, 협동 제어, 스마트 책략 등 인공지능의 공통성을 핵심으로 한 기술의 지지 기반이다. 이를 통해 개방형, 모듈형, 가변구조화된 자가 무인 시스템을 개방하며 실험하는 환경을 만든다.
– 인공지능 기초 데이터와 안전 검측 플랫폼: 인공지능의 공공 데이터 저장소와 표준 테스트 데이터 집군,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등을 중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의 알고리즘과 플랫폼 안전성 테스트 평가의 방법, 기술, 규범 및 툴을 구성한다. 각각의 통용되는 소프트웨어와 기술플랫폼 리소스의 개방을 촉진하며 각 플랫폼을 통해 군민의 심도 있는 융합과 요구, 관련된 규정에 따라 군민의 공용, 공유를 추진한다.
4) 인공지능 고급 인재의 배양 가속화
인공지능 기술의 고급 인재는 관련 산업 발전의 중요 사항 중 하나다. 이들을 계속해서 배양해야 하며 관련 기술을 서로 결합해 인공지능의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며, 후원 양성을 해야 한다. 특히, 글로벌 탑급 인재와 청년 인재에 집중해 국가 단위의 인재풀을 만들어야 한다.
높은 수준의 인공지능 혁신 인재와 조직을 배양한다는 것은 발전 잠재력이 있는 리더를 양성한다는 의미다. 관련 기초 연구, 응용 연구, 실행 등 방면에서 전문성을 지닌 인재를 키워야 한다. 물론, 인공지능과 관련된 경제, 사회, 관리, 표준, 법률 등에 부합한 인재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 관련 고급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이들을 연결지을 파이프라인을 개방하며, 이들을 지원하는 특화된 정책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신경인지, 기계학습, 무인차량, 스마트 로봇 등의 글로벌 탑급 과학자들과 혁신 조직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이들과 합작, 기술적 자문등의 방식을 통해 유연성을 갖고 인재를 확보한다. 해외 고급 인재 유치 프로젝트 ‘천인계획(千人计划)’과 같은 계획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기업의 인력과 자본 원가에 부합한 정책을 기반으로 기업과 과학 연구 기관을 독려해 새로운 시대의 기술로의 유입을 주도한다.
인공지능 학과를 세우는 것도 필요하다. 관련 전공을 신설하며, 1급 수준의 학과로 자리매김 한다. 빠른 속도로 대학에 관련 대학원을 설립하며,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더욱 다양하게 개설한다. 고등학교에서도 기초 인공지능 전문 교육의 내용을 넣는다. 이른바 ‘인공지능+X’와 같은 전공을 배양하는 모델을 만든다는 것이다. 디지털학, 컴퓨터과학,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사회학, 법학 등의 학과 전공 교육에도 인공지능 관련 내용을 교차 응용한다. 산학연의 합작, 고등학교 지원, 과학연구와 기업 등의 기관과 합작해 인공지능 학과를 건설한다.
3–2. 특수 고등학교에서의 스마트 경제 배양
인공지능과 각 산업 영역의 심도 있는 융합을 촉진해야 한다. 데이터, 인간과 기계의 협동, 학계를 넘어서는 융합, 공동 창업 분배의 스마트 경제를 주도하는 것이다. 데이터와 지식은 경제 성장의 첫째 요소다. 인간과 기계의 협동은 주요 생산과 서비스 방식이 될 것이다. 경계를 넘어서는 융합은 중요한 경제 모델이 되며, 공동 창업 분배는 경제 생태의 기본이 될 것이다. 개성화된 수요와 맞춤 제작은 소비의 새로운 조류가 될 것이다. 생산율은 대폭 증가하며, 산업의 가치사슬 역시 고도화될 것이다. 실체 경제 발전을 지지하는 주력이 될 것이며, 전면적으로 성장한 경제 발전의 가치와 수익을 가져올 것이다.
1) 인공지능의 신흥 산업을 양성하다
기술 집성과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을 촉진하며, 영역 별 스마트 제품의 혁신을 태동한다. 인공지능의 신흥 업태를 양성하며 산업 사슬의 고도화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도록 한다.
– 스마트 소프트웨어: 인공지능의 제어 체계, 데이터 창고, 미들웨어, 개발 공구 등 관련 기초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이미지 처리 중앙 처리장치도 이에 포함된다. 이미지 식별, 음성 식별, 자동 번역 등의 스마트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며, 인공지능 응용의 기초 소프트웨어 산업 양성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 스마트 로봇: 스마트 로봇의 핵심 부품, 감응센서를 공략해 하드웨어의 표준과 소프트웨어의 표준 및 안전 사용 표준을 구축한다. 스마트 공업 로봇, 서비스 로봇을 연구 제작해 대규모 영역에 적용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한다. 공간, 해양, 극지방 관련 로봇을 연구제작, 보급하는 등 특수한 영역도 공략한다. 스마트 로봇의 표준 체계와 안전 규칙을 세운다.
– 스마트 운반 도구: 무인운전자동차와 철로교통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감지, 무인운전, 인터넷,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이 집성, 조정되고 있다. 스마트 교통 감지 시스템이 개발되고, 중국의 자체적인 무인자동차 플랫폼 기술 체계와 제품 집성 역량이 구축됐다. 무인자동차의 공유 모델의 탐색 역시 들어갔다. 소비자급 상용 무인기, 무인선박이 발전하면서, 관련 평가 및 테스트 등의 전문화된 서비스 시스템이 세워지면서 항만 관리 조치도 이뤄지고 있다.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고성능 소프트웨어 모델과 콘텐츠 생성, 증강현실과 사람-기계의 교류, 환경 및 공구 등의 관련 기술들이 발전하고 있다. 가상현실 기기, 광학기기, 고성능 3D 모니터, 엔진 개발 등이 연구 제작되고 있다.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기술, 제품, 서비스 표준과 평가 체계가 세워지면서, 해당 산업의 융합 적용이 본격화되고 있다.
– 지능형단말장치: 지능형 단말장치의 핵심 기술과 산업 연구 개발을 가속화해 새로운 시대의 스마트폰과 스마트차량 등 모바일 지능형 단말장치의 제품과 설비를 발전시켰다. 스마트 워치, 이어폰, 안경 등 웨어러블 제품을 독려하고, 제품의 형태와 응용 서비스를 개발했다.
– 사물인터넷 기초 부품: 관련 센서와 칩셋이 높은 정밀도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무선주파수 식별, 근거리 기기 통신 등 사물인터넷의 핵심 기술 및 저전력 중앙처리 장치 등의 핵심 부품들을 공략한다.
2) 산업의 스마트화 추진 가속
인공지능과 각 산업의 융합혁신이 이뤄지면서 제조, 농업, 물류, 금융, 비즈니스, 가구 등 여타 산업과 영역에서 시범적인 인공지능 적용이 이뤄지고 있다.
– 스마트 제조: 관련 기술 장비와 소프트웨어, 공업인터넷 등의 영역에서 적용이 추진되고 있으며, 스마트 제품, 제조 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보급 파이프라인, 분리 제조, 온라인 협업 제조, 원거리 진단 및 운영, 유지보수 서비스 등의 새로운 제조 모델을 연구개발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제조 표준 체계를 마련하고 제조의 전체 주기를 스마트화한다.
– 스마트 농업: 농업 스마트 센서 및 제어 시스템, 관련 장비, 농기구 등의 시스템을 포괄한다. 이를 통해 일체화된 스마트 농업 정보 원격탐지 검측망을 구축한다.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분석 체계를 마련하고, 스마트화된 농업과 공장, 목장 및 어장, 과수원, 농산품 가공 센터 및 관련 공급 사슬 영역에 시범 적용을 추진한다.
– 스마트 물류: 운반, 포장, 가공 및 배송 등 물류 전체의 체계를 변혁하는 연구 개발과 적용으로 구성돼 있다. 스마트 창고 시스템을 세워 창고 운영 관리 수준과 효율을 높인다.스마트 물류의 공공 정보 플랫폼과 지휘 시스템, 제품 품질 관리 및 배치 시스템 등이 포함돼 있다.
– 스마트 금융: 금융 빅데이터 시스템을 중심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고하며, 금융의 새로운 업무 체계를 만든다. 금융 산업의 서비스, 보안 등에 스마트화된 기술과 장비를 도입해 금융 보험의 예측과 위험 방지 시스템을 구축한다.
– 스마트 비즈니스: 크로스미디어 분석 및 추리, 콘텐츠 엔진 및 서비스 등 신기술 적용이 광범위하게 이뤄진다. 위치기반, 온라인 미디어 및 도시 기초 데이터 등 경계를 넘어선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기업의 스마트 업무 지원 등의 역할을 한다. 각 사람의 수요를 파악해 관리와 맞춤화를 진행한다.
– 스마트 홈: 인공지능 기술과 거주지 건축 시스템의 융합 적용을 의미한다. 각각 다른 환경의 가정 인터넷에 적용돼 표준화, 가전 및 내구재 등의 퀄리티 향상 및 감지 및 연결 능력을 향상시킨다.
3) 스마트 기업의 발전
대규모의 기업 스마트화가 이뤄지고 있다. 기업의 설게, 생산, 관리, 물류 및 영업 마케팅 등 핵심 업무 고리에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기업 조직이 세워지고, 운영 방식이 제시된다. 제조와 서비스, 금융이 스마트화된 융합을 거친다. 개성화된 주문형 맞춤 제작 및 스마트 제품 공급을 확산한다. 대형 인터넷 기반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 제조 플랫폼과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온라인 기반 공업 소프트웨어와 모형 센터를 제공한다.
스마트 공장 영역에서 관련 기술의 적용이 시범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생산 라인과 배치를 스마트화 하며, 산업인터넷과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수집을 거쳐 다원화된 인간과 기계의 협업과 조작 등의 기술을 제공한다. 기업 공장 그 자체가 빅데이터 시스템화되며, 온라인에서 생산 설비를 배치시키는 등의 작업을 통해 생산 설비를 온라인화, 시각화, 투명화, 무인화를 구현한다.
중국은 인공지능 기업을 빠르게 양성해야 한다. 무인기, 음성식별, 이미지 식별 등의 우세 영역에서 글로벌 선도 수준의 기업, 브랜드를 구축한다. 스마트 로봇, 자동차, 웨어러블기기, 가상현실 등 신흥 영역에서 선두급 기업을 배양해야 한다. 인공지능 기업의 특허 관련 국제 표준도 제정한다. 국내 우세 기업과 산업 조직, 과학연구 기관, 고등학교 등과 합작해 중국 인공지능 산업 기술 혁신 연맹을 구축한다. 선도급 중견기업에 하드웨어 공장, 소프트웨어 플랫폼, 리소스 등을 공급하는 혁신 생태계를 만든다. 인공지능 관련 중소기업의 발전과 각 영역에서의 응용을 촉진한다. 각 기관과 플랫폼이 인공지능 기업에게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지한다.
4) 인공지능 혁신 지대를 조성한다
인공지능 응용 영역을 구분하고 이와 관련한 산업을 중국 각 지역에 배치한다. 각 지방 마다 인공지능 산업 사슬과 혁신 사슬을 연결하고, 고급 리소스, 기업, 인재를 집결해 인공지능 산업 조직과 지대를 조성한다.
– 인공지능 혁신 응용 테스트: 인프라적 기초가 훌륭하고, 잠재력이 있는 지역에서 국가 인공지능 혁신 실험과 체제 구조, 정책법규, 인재배양 등의 방면을 개혁한다. 인공지능의 성과, 제품 집성 및 혁신 시범 응용을 통해 복제가능하고, 보급 가능한 경험을 확보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주도한다.
– 국가 인공지능 산업단지 건설: 국가의 자주 혁신 시범구와 신기술 산업 개발구 등 혁신 운반체에 의지해 과학기술, 인재, 금융, 정책 등 요소를 배치, 조합하며, 인공지능 산업 혁신 조직을 강화한다.
– 국가 인공지능 대중혁신 기지 건설: 인공지능 연구 개발 수준이 높은 고등학교, 과학연구원이 집중된 지역에서 인공지능 영역 전문화 혁신 플랫폼과 같은 창업 서비스 기관을 건설하고, 낮은 원가, 편리성, 리소스, 개방형식의 인공지능 대중 창업 공간을 구축한다. 창업보육서비스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는 등 인공지능 과학기술 성과를 진화시키며 혁신창업을 지지한다.
3–3.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사회 건설
인민의 생활 수준과 퀄리티를 목표로 하여 인공지능을 심도있게 응용한다. 장소와 시간 불문 인공지능을 접할 수 있는 스마트환경을 조성해 전 사회의 스마트화 수준을 상승시킨다. 점차 간단성, 반복성, 위험성 있는 업무들을 인공지능이 대체하도록 한다. 높은 퀄리티 및 적합한 구직구인 환경을 만들며,스마트 서비스의 다양화를 도모한다. 사람들로 하여금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와 편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사회 관리 역시 인공지능을 통해 대폭 수준을 향상시킨다.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회를 만든다.
1) 편리하고 고효율적인 스마트 서비스 발전
교육, 의료, 노인 부양 등의 다급한 민생의 수요와 관련해 인공지능의 적용 범위를 높여 맞춤화되고 다원화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스마트 교육: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인재를 배양하는 모델을 만들고 교육 방식을 개혁한다. 스마트 학습과 상호 교류식 학습이라는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도입한다. 스마트 학교를 건설해 인공지능이 교육, 관리, 자원건설 등의 전 영역에 응용되게 한다. 입체적이며 종합적인 교육 현장을 만드는데, 뒷단에는 빅데이터, 온라인 학습 교육 플랫폼이 뒷받침한다. 스마트 교육 조수를 개발해 빠르면서 전면적인 교육 분석 시스템을 구축한다. 학생 중심의 교육 환경을 만들어 이들에게 적합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상의 교육과 평생 교육의 제도화를 실현한다.
– 스마트 의료: 인공지능 치료라는 새로운 모델과 수단을 보급한다. 빠른 속도와 동시에 정밀한 의료 체계를 세운다. 스마트 병원을 건설해 사람과 기계의 협업, 수술 로봇, 진료 조수를 연구개발하고 웨어러블, 생체에 적합한 검측 시스템을 개발한다. 사람과 로봇의 협업을 통한 진료를 구현해 영상 식별, 병리 분석, 스마트 대진을 구현한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대규모 게놈 식별, 단백질체학, 대사체학 등을 연구하며 신약 개발을 하며 의료 관리 감독의 스마트화를 이룬다. 이를 통해 유행 질병을 검측하며 방지한다.
– 스마트 건강과 노인 부양: 건강관리, 건강 빅데이터 분석,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을 포함한다. 건강관리 웨어러블 기기와 가정 내 건강 검측 기기를 연구개발해 일회성 건강관리에서 연결 관리로, 단기간의 과정에서 장기간의 관리로 전환한다. 스마트 노인 부양 기관을 건설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 노인 부양 기초 설비 체계를 만든다. 노인들이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제품을 도입하고, 시청각 보조 설비, 물리 조수 설비 등 노인을 위한 스마트 홈을 만들어 노인 활동 공간을 개척한다. 노인들의 모바일 소셜 미디어와 서비스 플랫폼과 간병 조수를 개발해 노년 생활의 질을 제고한다.
2) 스마트화된 사회 관리 추진
인공지능 기술의 응용을 통해 행정관리, 사법관리, 도시관리, 환경보호 등 사회 관리의 어려운 문제들을 해소하고자 한다.
– 스마트 행정: 정부 업무와 정책 관련 인공지능 플랫폼을 만들어 오픈된 환경에서 정책 검색, 복잡사회 문제 연구 및 판단, 정책 평가, 위험 경보, 응급 처치 등 중대한 전략 정책 결정 방면에 활용한다. 정무 소식을 종합하고, 공공 요구에 맞춤화된 예측을 통해 정부와 대중간의 원활한 소통 파이프라인을 설치한다.
– 스마트 법정: 심판, 구성원, 데이터응용, 사법공개, 변화 감독 등을 일체화한 형태로 구성된 데이터 기반 플랫폼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증거수집, 판례분석, 법률문건 열독 및 분석 등에 응용되며, 법원 심판 체계와 심판 능력의 스마트화를 실현한다.
– 스마트 도시: 기초 설비, 건축, 지하파이프 등 도시의 기초 설비를 스마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도시 운영과 관련된 다원화된 데이터를 융합한 시스템을 만든다. 이를 통해 도시 기초 설비와 녹지, 습지 등 중요 생태 요소를 전면적으로 감지하며 도시의 복잡한 운행 체계를 인지하는 데에 활용된다. 사회 공공 서비스 시스템을 연구개발해 각 사회 서비스 시스템과 거주민 가정 시스템의 연결을 촉진한다. 도시 구획, 건설, 관리, 운영 전 영역의 주기를 스마트화한다.
– 스마트교통: 영업 차량의 무인화 기술 시스템을 의미한다. 복잡한 운전 상황의 다차원적 교통 소식을 종합화한 빅데이터 응용 플랫폼을 연구개발해 스마트화된 교통 체계 및 종합 운행의 막힘없는 진행을 지휘한다. 지면, 철로, 저공, 해상 등에 스마트 교통 제어와 서비스 시스템을 설립한다.
– 스마트 환경보호: 대기, 물, 토양 등을 빅데이터 플랫폼 시스템으로 제어하는 형태로 구현한다. 육지와 바다를 총괄하며 천지일체, 상하 협동, 정보 공유 등의 검측망과 서비스 플랫폼이 뒷받침한다. 에너지원과 자원 소비를 연구개발해, 환경오염물질 배출 예측 모형 방법과 예고 방안을 만든다. 국가의 중대한 전략 환경보호 구역인 징진지(京津冀)와 장강 경제를 강화해 이 지역에 스마트 시스템을 통한 방지와 제어를 실현한다.
3) 인공지능을 공공안전 보장에 활용
공공안전의 스마트화 검측 및 예고와 제어 시스템을 구축한다. 사회의 종합적 관리와 신형 범죄 조사, 테러 세력 등 다급한 사안들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감지 기술과 심도 있는 예측, 이미지 분석 식별 기술, 생물학 특징 식별 기술 등 스마트 안전 방지 및 경보 제품을 연구 개발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화된 예측, 검측 플랫폼을 구축한다. 식품 분류, 예고등급, 식품안전 관련 등급 평가 등을 스마트화된 식품 안전 예고 시스템으로 해결한다. 인공지능의 자연재해 방면 효과적인 관리를 강화해 지진, 지질, 기상, 수해, 및 해양 재해 등의 중대 자연 재해를 예고, 검측 가능한 종합 플랫폼으로 해결한다.
4) 사회 교류 촉진
인공지능은 사회적 교류를 확산시킬 것이다. 다음 세대의 소셜망을 연구개발해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의 기술을 보급 응용한다. 가상환경과 실제환경의 융합을 촉진해 각 개인의 감지, 분석, 판단 등에 부합한 수요를 충족시켜주고, 업무, 학습, 생활, 오락 등의 상황을 인지한다. 대인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해 감정 교류 기능을 개발해 정확하게 사람들의 수요를 이해하는 스마트 조수 제품을 선보이며, 감정 교류와 수요 만족을 실현한다. 블록체인 기술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사회의 신용체계를 구축하며, 대인간의 교류에서 갖는 부담과 위험을 줄인다.
3–4. 인공지능 영역의 군민 융합 강화
다양한 영역, 고효율화된 인공지능을 이용해 군민융합을 이룬다. 공동 분배, 사용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기초 이론과 관련 기술 연구 개발을 진행한다. 과학연구원, 고등학교, 기업과 군공단위의 조합 매커니즘을 설립한다. 인공지능 기술의 군민 쌍방간 전화를 촉진하며, 군사훈련, 국방 장비등에 조력한다.
3–5. 스마트화를 통한 안전, 고효율화 이룩
전통기초설비의 스마트화 수준을 높여 경제, 사회, 국방 영역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시스템을 만든다. 정보전송을 핵심으로 한 디지털화, 인터넷화 설비를 통해 감지, 전송, 저장, 계산, 처리를 일체화한 스마트 정보 기초 설비를 만든다. 인터넷 기초 설비를 업그레이드해 5G 통신을 연구개발하며, 사물인터넷 기초설비를 강화한다. 천지일체화된 정보망 건설을 촉진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 안전과 개인 사생활 보호를 강화하며 인공지능 연구개발과 광범위한 응용에 기여한다. 온라인 리소스를 분산처리해 즉시 필요한 온라인의 수요를 충족시킨다. 스마트 축적 시설, 에너지 설비를 보급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충족시킨다.
3–6.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의 중대한 과학기술 항목
중국 인공지능 발전을 막고 있는 시급한 수요와 열악한 고리를 겨냥해 인공지능 중대 과학기술 항목을 설립해야 한다. 이를 전체적으로 주도하며 명확한 업무 및 연구 개발의 도입이 핵심이다. 현재 연구개발의 방식은 ‘1+N’의 형태다.
1이 의미하는 것은 기초 이론과 관련 기술을 모아 전망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에는 빅데이터 연구와 크로스미디어 감지 컴퓨팅, 혼합증강지능, 군중 지능, 자주협동 관리 및 정책 등의 이론을 포함한다. 지식 컴퓨팅 엔진과 서비스 기술, 크로스미디어 분석 추리 기술, 군중 지능 관련 기술, 혼합 증강 지능의 구조 및 기술, 자동 제어 기술 등을 연구해 인공지능 기초 이론과 관련 기술의 핵심을 개발한다.
N이 의미하는 것은 국가와 연관이 인공지능 연구개발 항목의 구획, 계획을 의미한다. 이는 새로운 시대의 인공지능 중대 과학기술 항목과 맞물려 있으며, 인공지능 이론 연구와 기술 돌파 및 제품 연구 응용과도 연관돼 있다. 국가 과학기술 관련 전문적으로 세워진 항목과 연결돼 강화되고 있다. 중국산 고성능 칩, 기초 소프트웨어의 주요 전략이 담긴 ‘허가오치(核高基)’ 프로젝트에서 집성된 전로장비와 같은 국가 과학기술의 전문 항목 중에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발전을 지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타 ‘과학기술혁신 2030’ 프로젝트에서의 항목인 ‘상호 지지, 뇌과학과 뇌컴퓨팅, 양자신호와 양자 컴퓨팅, 스마트제조와 로봇, 빅데이터’ 등의 연구와 맞물려 인공지능을 중대 돌파 기술로 지원한다.
국가가 중점적으로 연구 계획하는 고성능 컴퓨팅 등의 중점 항목 설비와 관련해 인공지능 관련 기술연구와 응용 측면에서 지지를 강화한다. 국가 자연과학 기금 역시 인공지능의 선두 영역 교차과학연구 와 자유 탐색 등을 지원한다. 션하이 우주정거장, 건강보장 등의 중대 항목 및 스마트 도시, 스마트 농장비 등 국가가 중점적으로 연구 계획하는 전문화된 항목 중에서도 인공지능 기술 응용을 시범적으로 실시한다. 기타 과학기술 계획이 지지하는 인공지능 관련 기초 이론과 기술 연구 성과 역시 개방 공유돼야 한다.
4. 자원관리
자금, 거점과 같은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며, 글로벌과 중국내 혁신 자원을 선도할 수 있는 수준의 재정 투입,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며 시장 배치 역시 주도한다. 기업을 비틀어 움직이며, 사회에 거대 투입, 재정자금, 금융자본, 사회자본 등 다방면의 지원이 진행돼야 한다.
4–1. 시장 주도의 자금 지원 체제
정부와 시장의 다방면 자금의 투입 관련 통일된 계획을 세워 재정자금의 지지도를 높이며 자원을 활성화한다. 인공지능의 최전방 기초 연구와 관련된 기술, 성과 전화 및 기타 플랫폼 구축, 혁신 응용 시범 등을 지원하는 데에 활용된다. 현 정부의 투자 자금은 이와 부합하는 인공지능 항목에 활용되고, 선두급 중견기업 및 산업 혁신 연맹 등을 이용해 사회 자본과 참여를 이끈다.
4–2. 인공지능 혁신 신기지 구축
국가급 과학기술 혁신 기지의 분포 및 조성을 통해 인공지능 영역의 국제 선두급 혁신 기지로 삼는다. 국가급 인공지능 실험실 및 국가 공정 실험실 등이 대표적 사례이다. 기업을 주체로 하여 산학 연구 합작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영역과 이와 관련있는 기술 및 산업 혁신 기지를 조성한다. 선두급 중견 기업의 기술 혁신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한다. 인공지능 영역의 전문화된 대중 창업 공간을 제공해 가장 새로운 기술 성과와 자원, 서비스를 촉진한다. 이밖에 인재, 자금 등 리소스를 지원해 기초 이론과 관련된 기술의 난제를 돌파하고, 실제 생활에의 응용을 유도한다.
4–3. 글로벌-중국 혁신 자원 총괄
국내 인공지능 기업과 글로벌 인공지능 영역을 선도하는 고등학교, 과학연구원, 합작을 지우너한다. 중국 내 인공지능 기업을 글로벌로 내보내며, 실력있는 인공지능 기업의 해외 합병, 지분 투자, 창업투자 및 해외 연구 센터 건립 등을 돕는다. 해외 인공지능 기업과 연구 기관을 화교 설립 연구 중심에서 담당할 수 있도록 한다. 일대일로 전략에 따라 인공지능의 글로벌 과학기술 합작 기지 및 연합 연구 센터 등을 추진해 인공지능 기술의 일대일로를 국가 차원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인공지능의 글로벌 조직을 세우며 국제 표준을 제정한다. 관련 산업 협회와 연맹, 서비스 기관을 통해 인공지능 기업의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한다.
5. 국가 보장
중국 인공지능의 건강한 발전의 수요와 관련해 이 기술이 가져올 도전과 적합한 제도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글로벌 환경을 포괄한 개방된 구조를 세우며, 인공지능 발전 사회의 기초를 다진다.
6. 조직적 실시
인공지능의 전면적, 그리고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조직을 선도하고 전체 체제를 세우며, 목표를 세우고, 임무를 예의주시한다. 못을 들이박는 정신으로 인공지능의 실현을 이루며, 청사진을 만든다.
6–1. 조직 선도
당중앙, 국무원의 통일된 배치에 따라 국가 과학기술 체제 개혁과 혁신 체제가 작은 그룹 단위를 이끈다. 중대 임무와 정책, 문제와 업무 안배는 심사를 통해 진행한다. 인공지능과 관련된 법률과 법규, 지도, 감독을 추진한다. 국가 과학 기술 계획(전문 항목, 기금 등)에 의거해 각 부서간의 연석회의를 관리하며, 과학기술부회의 관련 부문들은 인공지능 항목과 관련해 책임을 진다. 과기부 산하 인공지능 기획 추진 사무실을 세우고, 기획 실시와 관련한 추진을 책임진다. 인공지능 전략 자문회를 성립해 인공지능의 전도성, 전략성과 같은 문제를 연구한다. 인공지능의 중대 정책과 관련해 자문 평가도 제공한다.
6–2. 단계별 기획
명확한 책임 단위와 안배를 위해 연도 및 단계별 기획을 제정한다. 연도 평가 및 중기 평가 등 기획 실시 상황에서의 검측 평가 체제를 만든다. 인공지능의 빠른 발전, 임무, 단계별 목표, 기술 발전 신동향 등에 맞는 기획과 항목을 추진한다.
6–3. 시범실시
인공지능의 중대 업무와 정책 실시와 관련해 구체적 방안 제정과 시범 실시를 필요로 한다. 각 부문과 지방에서 시범 구역을 설정해 다른 지역과 영역으로 복제 적용 가능한 방법을 도입한다. 시범적으로 선행하고 그 후 인공지능의 건강하면서도 질서 있는 발전을 추진한다.
6–4. 여론관리
각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활용해 인공지능의 새로운 진전과 성과를 알리고, 인공지능의 건강한 발전 과정을 사회에 알린다. 이와 관련된 사회 참여를 촉진하며 인식을 높인다.
国务院关于印发
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的通知
国发〔2017〕35号
各省、自治区、直辖市人民政府,国务院各部委、各直属机构:
现将《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印发给你们,请认真贯彻执行。
国务院
2017年7月8日
(此件公开发布)
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
人工智能的迅速发展将深刻改变人类社会生活、改变世界。为抢抓人工智能发展的重大战略机遇,构筑我国人工智能发展的先发优势,加快建设创新型国家和世界科技强国,按照党中央、国务院部署要求,制定本规划。
一、战略态势
人工智能发展进入新阶段。经过60多年的演进,特别是在移动互联网、大数据、超级计算、传感网、脑科学等新理论新技术以及经济社会发展强烈需求的共同驱动下,人工智能加速发展,呈现出深度学习、跨界融合、人机协同、群智开放、自主操控等新特征。大数据驱动知识学习、跨媒体协同处理、人机协同增强智能、群体集成智能、自主智能系统成为人工智能的发展重点,受脑科学研究成果启发的类脑智能蓄势待发,芯片化硬件化平台化趋势更加明显,人工智能发展进入新阶段。当前,新一代人工智能相关学科发展、理论建模、技术创新、软硬件升级等整体推进,正在引发链式突破,推动经济社会各领域从数字化、网络化向智能化加速跃升。
人工智能成为国际竞争的新焦点。人工智能是引领未来的战略性技术,世界主要发达国家把发展人工智能作为提升国家竞争力、维护国家安全的重大战略,加紧出台规划和政策,围绕核心技术、顶尖人才、标准规范等强化部署,力图在新一轮国际科技竞争中掌握主导权。当前,我国国家安全和国际竞争形势更加复杂,必须放眼全球,把人工智能发展放在国家战略层面系统布局、主动谋划,牢牢把握人工智能发展新阶段国际竞争的战略主动,打造竞争新优势、开拓发展新空间,有效保障国家安全。
人工智能成为经济发展的新引擎。人工智能作为新一轮产业变革的核心驱动力,将进一步释放历次科技革命和产业变革积蓄的巨大能量,并创造新的强大引擎,重构生产、分配、交换、消费等经济活动各环节,形成从宏观到微观各领域的智能化新需求,催生新技术、新产品、新产业、新业态、新模式,引发经济结构重大变革,深刻改变人类生产生活方式和思维模式,实现社会生产力的整体跃升。我国经济发展进入新常态,深化供给侧结构性改革任务非常艰巨,必须加快人工智能深度应用,培育壮大人工智能产业,为我国经济发展注入新动能。
人工智能带来社会建设的新机遇。我国正处于全面建成小康社会的决胜阶段,人口老龄化、资源环境约束等挑战依然严峻,人工智能在教育、医疗、养老、环境保护、城市运行、司法服务等领域广泛应用,将极大提高公共服务精准化水平,全面提升人民生活品质。人工智能技术可准确感知、预测、预警基础设施和社会安全运行的重大态势,及时把握群体认知及心理变化,主动决策反应,将显著提高社会治理的能力和水平,对有效维护社会稳定具有不可替代的作用。
人工智能发展的不确定性带来新挑战。人工智能是影响面广的颠覆性技术,可能带来改变就业结构、冲击法律与社会伦理、侵犯个人隐私、挑战国际关系准则等问题,将对政府管理、经济安全和社会稳定乃至全球治理产生深远影响。在大力发展人工智能的同时,必须高度重视可能带来的安全风险挑战,加强前瞻预防与约束引导,最大限度降低风险,确保人工智能安全、可靠、可控发展。
我国发展人工智能具有良好基础。国家部署了智能制造等国家重点研发计划重点专项,印发实施了“互联网+”人工智能三年行动实施方案,从科技研发、应用推广和产业发展等方面提出了一系列措施。经过多年的持续积累,我国在人工智能领域取得重要进展,国际科技论文发表量和发明专利授权量已居世界第二,部分领域核心关键技术实现重要突破。语音识别、视觉识别技术世界领先,自适应自主学习、直觉感知、综合推理、混合智能和群体智能等初步具备跨越发展的能力,中文信息处理、智能监控、生物特征识别、工业机器人、服务机器人、无人驾驶逐步进入实际应用,人工智能创新创业日益活跃,一批龙头骨干企业加速成长,在国际上获得广泛关注和认可。加速积累的技术能力与海量的数据资源、巨大的应用需求、开放的市场环境有机结合,形成了我国人工智能发展的独特优势。
同时,也要清醒地看到,我国人工智能整体发展水平与发达国家相比仍存在差距,缺少重大原创成果,在基础理论、核心算法以及关键设备、高端芯片、重大产品与系统、基础材料、元器件、软件与接口等方面差距较大;科研机构和企业尚未形成具有国际影响力的生态圈和产业链,缺乏系统的超前研发布局;人工智能尖端人才远远不能满足需求;适应人工智能发展的基础设施、政策法规、标准体系亟待完善。
面对新形势新需求,必须主动求变应变,牢牢把握人工智能发展的重大历史机遇,紧扣发展、研判大势、主动谋划、把握方向、抢占先机,引领世界人工智能发展新潮流,服务经济社会发展和支撑国家安全,带动国家竞争力整体跃升和跨越式发展。
二、总体要求
(一)指导思想。
全面贯彻党的十八大和十八届三中、四中、五中、六中全会精神,深入学习贯彻习近平总书记系列重要讲话精神和治国理政新理念新思想新战略,按照“五位一体”总体布局和“四个全面”战略布局,认真落实党中央、国务院决策部署,深入实施创新驱动发展战略,以加快人工智能与经济、社会、国防深度融合为主线,以提升新一代人工智能科技创新能力为主攻方向,发展智能经济,建设智能社会,维护国家安全,构筑知识群、技术群、产业群互动融合和人才、制度、文化相互支撑的生态系统,前瞻应对风险挑战,推动以人类可持续发展为中心的智能化,全面提升社会生产力、综合国力和国家竞争力,为加快建设创新型国家和世界科技强国、实现“两个一百年”奋斗目标和中华民族伟大复兴中国梦提供强大支撑。
(二)基本原则。
科技引领。把握世界人工智能发展趋势,突出研发部署前瞻性,在重点前沿领域探索布局、长期支持,力争在理论、方法、工具、系统等方面取得变革性、颠覆性突破,全面增强人工智能原始创新能力,加速构筑先发优势,实现高端引领发展。
系统布局。根据基础研究、技术研发、产业发展和行业应用的不同特点,制定有针对性的系统发展策略。充分发挥社会主义制度集中力量办大事的优势,推进项目、基地、人才统筹布局,已部署的重大项目与新任务有机衔接,当前急需与长远发展梯次接续,创新能力建设、体制机制改革和政策环境营造协同发力。
市场主导。遵循市场规律,坚持应用导向,突出企业在技术路线选择和行业产品标准制定中的主体作用,加快人工智能科技成果商业化应用,形成竞争优势。把握好政府和市场分工,更好发挥政府在规划引导、政策支持、安全防范、市场监管、环境营造、伦理法规制定等方面的重要作用。
开源开放。倡导开源共享理念,促进产学研用各创新主体共创共享。遵循经济建设和国防建设协调发展规律,促进军民科技成果双向转化应用、军民创新资源共建共享,形成全要素、多领域、高效益的军民深度融合发展新格局。积极参与人工智能全球研发和治理,在全球范围内优化配置创新资源。
(三)战略目标。
分三步走:
第一步,到2020年人工智能总体技术和应用与世界先进水平同步,人工智能产业成为新的重要经济增长点,人工智能技术应用成为改善民生的新途径,有力支撑进入创新型国家行列和实现全面建成小康社会的奋斗目标。
——新一代人工智能理论和技术取得重要进展。大数据智能、跨媒体智能、群体智能、混合增强智能、自主智能系统等基础理论和核心技术实现重要进展,人工智能模型方法、核心器件、高端设备和基础软件等方面取得标志性成果。
——人工智能产业竞争力进入国际第一方阵。初步建成人工智能技术标准、服务体系和产业生态链,培育若干全球领先的人工智能骨干企业,人工智能核心产业规模超过1500亿元,带动相关产业规模超过1万亿元。
——人工智能发展环境进一步优化,在重点领域全面展开创新应用,聚集起一批高水平的人才队伍和创新团队,部分领域的人工智能伦理规范和政策法规初步建立。
第二步,到2025年人工智能基础理论实现重大突破,部分技术与应用达到世界领先水平,人工智能成为带动我国产业升级和经济转型的主要动力,智能社会建设取得积极进展。
——新一代人工智能理论与技术体系初步建立,具有自主学习能力的人工智能取得突破,在多领域取得引领性研究成果。
——人工智能产业进入全球价值链高端。新一代人工智能在智能制造、智能医疗、智慧城市、智能农业、国防建设等领域得到广泛应用,人工智能核心产业规模超过4000亿元,带动相关产业规模超过5万亿元。
——初步建立人工智能法律法规、伦理规范和政策体系,形成人工智能安全评估和管控能力。
第三步,到2030年人工智能理论、技术与应用总体达到世界领先水平,成为世界主要人工智能创新中心,智能经济、智能社会取得明显成效,为跻身创新型国家前列和经济强国奠定重要基础。
——形成较为成熟的新一代人工智能理论与技术体系。在类脑智能、自主智能、混合智能和群体智能等领域取得重大突破,在国际人工智能研究领域具有重要影响,占据人工智能科技制高点。
——人工智能产业竞争力达到国际领先水平。人工智能在生产生活、社会治理、国防建设各方面应用的广度深度极大拓展,形成涵盖核心技术、关键系统、支撑平台和智能应用的完备产业链和高端产业群,人工智能核心产业规模超过1万亿元,带动相关产业规模超过10万亿元。
——形成一批全球领先的人工智能科技创新和人才培养基地,建成更加完善的人工智能法律法规、伦理规范和政策体系。
(四)总体部署。
发展人工智能是一项事关全局的复杂系统工程,要按照“构建一个体系、把握双重属性、坚持三位一体、强化四大支撑”进行布局,形成人工智能健康持续发展的战略路径。
构建开放协同的人工智能科技创新体系。针对原创性理论基础薄弱、重大产品和系统缺失等重点难点问题,建立新一代人工智能基础理论和关键共性技术体系,布局建设重大科技创新基地,壮大人工智能高端人才队伍,促进创新主体协同互动,形成人工智能持续创新能力。
把握人工智能技术属性和社会属性高度融合的特征。既要加大人工智能研发和应用力度,最大程度发挥人工智能潜力;又要预判人工智能的挑战,协调产业政策、创新政策与社会政策,实现激励发展与合理规制的协调,最大限度防范风险。
坚持人工智能研发攻关、产品应用和产业培育“三位一体”推进。适应人工智能发展特点和趋势,强化创新链和产业链深度融合、技术供给和市场需求互动演进,以技术突破推动领域应用和产业升级,以应用示范推动技术和系统优化。在当前大规模推动技术应用和产业发展的同时,加强面向中长期的研发布局和攻关,实现滚动发展和持续提升,确保理论上走在前面、技术上占领制高点、应用上安全可控。
全面支撑科技、经济、社会发展和国家安全。以人工智能技术突破带动国家创新能力全面提升,引领建设世界科技强国进程;通过壮大智能产业、培育智能经济,为我国未来十几年乃至几十年经济繁荣创造一个新的增长周期;以建设智能社会促进民生福祉改善,落实以人民为中心的发展思想;以人工智能提升国防实力,保障和维护国家安全。
三、重点任务
立足国家发展全局,准确把握全球人工智能发展态势,找准突破口和主攻方向,全面增强科技创新基础能力,全面拓展重点领域应用深度广度,全面提升经济社会发展和国防应用智能化水平。
(一)构建开放协同的人工智能科技创新体系。
围绕增加人工智能创新的源头供给,从前沿基础理论、关键共性技术、基础平台、人才队伍等方面强化部署,促进开源共享,系统提升持续创新能力,确保我国人工智能科技水平跻身世界前列,为世界人工智能发展作出更多贡献。
1.建立新一代人工智能基础理论体系。
聚焦人工智能重大科学前沿问题,兼顾当前需求与长远发展,以突破人工智能应用基础理论瓶颈为重点,超前布局可能引发人工智能范式变革的基础研究,促进学科交叉融合,为人工智能持续发展与深度应用提供强大科学储备。
突破应用基础理论瓶颈。瞄准应用目标明确、有望引领人工智能技术升级的基础理论方向,加强大数据智能、跨媒体感知计算、人机混合智能、群体智能、自主协同与决策等基础理论研究。大数据智能理论重点突破无监督学习、综合深度推理等难点问题,建立数据驱动、以自然语言理解为核心的认知计算模型,形成从大数据到知识、从知识到决策的能力。跨媒体感知计算理论重点突破低成本低能耗智能感知、复杂场景主动感知、自然环境听觉与言语感知、多媒体自主学习等理论方法,实现超人感知和高动态、高维度、多模式分布式大场景感知。混合增强智能理论重点突破人机协同共融的情境理解与决策学习、直觉推理与因果模型、记忆与知识演化等理论,实现学习与思考接近或超过人类智能水平的混合增强智能。群体智能理论重点突破群体智能的组织、涌现、学习的理论与方法,建立可表达、可计算的群智激励算法和模型,形成基于互联网的群体智能理论体系。自主协同控制与优化决策理论重点突破面向自主无人系统的协同感知与交互、自主协同控制与优化决策、知识驱动的人机物三元协同与互操作等理论,形成自主智能无人系统创新性理论体系架构。
布局前沿基础理论研究。针对可能引发人工智能范式变革的方向,前瞻布局高级机器学习、类脑智能计算、量子智能计算等跨领域基础理论研究。高级机器学习理论重点突破自适应学习、自主学习等理论方法,实现具备高可解释性、强泛化能力的人工智能。类脑智能计算理论重点突破类脑的信息编码、处理、记忆、学习与推理理论,形成类脑复杂系统及类脑控制等理论与方法,建立大规模类脑智能计算的新模型和脑启发的认知计算模型。量子智能计算理论重点突破量子加速的机器学习方法,建立高性能计算与量子算法混合模型,形成高效精确自主的量子人工智能系统架构。
开展跨学科探索性研究。推动人工智能与神经科学、认知科学、量子科学、心理学、数学、经济学、社会学等相关基础学科的交叉融合,加强引领人工智能算法、模型发展的数学基础理论研究,重视人工智能法律伦理的基础理论问题研究,支持原创性强、非共识的探索性研究,鼓励科学家自由探索,勇于攻克人工智能前沿科学难题,提出更多原创理论,作出更多原创发现。
专栏1 基础理论
1.大数据智能理论。研究数据驱动与知识引导相结合的人工智能新方法、以自然语言理解和图像图形为核心的认知计算理论和方法、综合深度推理与创意人工智能理论与方法、非完全信息下智能决策基础理论与框架、数据驱动的通用人工智能数学模型与理论等。
2.跨媒体感知计算理论。研究超越人类视觉能力的感知获取、面向真实世界的主动视觉感知及计算、自然声学场景的听知觉感知及计算、自然交互环境的言语感知及计算、面向异步序列的类人感知及计算、面向媒体智能感知的自主学习、城市全维度智能感知推理引擎。
3.混合增强智能理论。研究“人在回路”的混合增强智能、人机智能共生的行为增强与脑机协同、机器直觉推理与因果模型、联想记忆模型与知识演化方法、复杂数据和任务的混合增强智能学习方法、云机器人协同计算方法、真实世界环境下的情境理解及人机群组协同。
4.群体智能理论。研究群体智能结构理论与组织方法、群体智能激励机制与涌现机理、群体智能学习理论与方法、群体智能通用计算范式与模型。
5.自主协同控制与优化决策理论。研究面向自主无人系统的协同感知与交互,面向自主无人系统的协同控制与优化决策,知识驱动的人机物三元协同与互操作等理论。
6.高级机器学习理论。研究统计学习基础理论、不确定性推理与决策、分布式学习与交互、隐私保护学习、小样本学习、深度强化学习、无监督学习、半监督学习、主动学习等学习理论和高效模型。
7.类脑智能计算理论。研究类脑感知、类脑学习、类脑记忆机制与计算融合、类脑复杂系统、类脑控制等理论与方法。
8.量子智能计算理论。探索脑认知的量子模式与内在机制,研究高效的量子智能模型和算法、高性能高比特的量子人工智能处理器、可与外界环境交互信息的实时量子人工智能系统等。
2.建立新一代人工智能关键共性技术体系。
围绕提升我国人工智能国际竞争力的迫切需求,新一代人工智能关键共性技术的研发部署要以算法为核心,以数据和硬件为基础,以提升感知识别、知识计算、认知推理、运动执行、人机交互能力为重点,形成开放兼容、稳定成熟的技术体系。
知识计算引擎与知识服务技术。重点突破知识加工、深度搜索和可视交互核心技术,实现对知识持续增量的自动获取,具备概念识别、实体发现、属性预测、知识演化建模和关系挖掘能力,形成涵盖数十亿实体规模的多源、多学科和多数据类型的跨媒体知识图谱。
跨媒体分析推理技术。重点突破跨媒体统一表征、关联理解与知识挖掘、知识图谱构建与学习、知识演化与推理、智能描述与生成等技术,实现跨媒体知识表征、分析、挖掘、推理、演化和利用,构建分析推理引擎。
群体智能关键技术。重点突破基于互联网的大众化协同、大规模协作的知识资源管理与开放式共享等技术,建立群智知识表示框架,实现基于群智感知的知识获取和开放动态环境下的群智融合与增强,支撑覆盖全国的千万级规模群体感知、协同与演化。
混合增强智能新架构与新技术。重点突破人机协同的感知与执行一体化模型、智能计算前移的新型传感器件、通用混合计算架构等核心技术,构建自主适应环境的混合增强智能系统、人机群组混合增强智能系统及支撑环境。
自主无人系统的智能技术。重点突破自主无人系统计算架构、复杂动态场景感知与理解、实时精准定位、面向复杂环境的适应性智能导航等共性技术,无人机自主控制以及汽车、船舶和轨道交通自动驾驶等智能技术,服务机器人、特种机器人等核心技术,支撑无人系统应用和产业发展。
虚拟现实智能建模技术。重点突破虚拟对象智能行为建模技术,提升虚拟现实中智能对象行为的社会性、多样性和交互逼真性,实现虚拟现实、增强现实等技术与人工智能的有机结合和高效互动。
智能计算芯片与系统。重点突破高能效、可重构类脑计算芯片和具有计算成像功能的类脑视觉传感器技术,研发具有自主学习能力的高效能类脑神经网络架构和硬件系统,实现具有多媒体感知信息理解和智能增长、常识推理能力的类脑智能系统。
自然语言处理技术。重点突破自然语言的语法逻辑、字符概念表征和深度语义分析的核心技术,推进人类与机器的有效沟通和自由交互,实现多风格多语言多领域的自然语言智能理解和自动生成。
专栏2 关键共性技术
1.知识计算引擎与知识服务技术。研究知识计算和可视交互引擎,研究创新设计、数字创意和以可视媒体为核心的商业智能等知识服务技术,开展大规模生物数据的知识发现。
2.跨媒体分析推理技术。研究跨媒体统一表征、关联理解与知识挖掘、知识图谱构建与学习、知识演化与推理、智能描述与生成等技术,开发跨媒体分析推理引擎与验证系统。
3.群体智能关键技术。开展群体智能的主动感知与发现、知识获取与生成、协同与共享、评估与演化、人机整合与增强、自我维持与安全交互等关键技术研究,构建群智空间的服务体系结构,研究移动群体智能的协同决策与控制技术。
4.混合增强智能新架构和新技术。研究混合增强智能核心技术、认知计算框架,新型混合计算架构,人机共驾、在线智能学习技术,平行管理与控制的混合增强智能框架。
5.自主无人系统的智能技术。研究无人机自主控制和汽车、船舶、轨道交通自动驾驶等智能技术,服务机器人、空间机器人、海洋机器人、极地机器人技术,无人车间/智能工厂智能技术,高端智能控制技术和自主无人操作系统。研究复杂环境下基于计算机视觉的定位、导航、识别等机器人及机械手臂自主控制技术。
6.虚拟现实智能建模技术。研究虚拟对象智能行为的数学表达与建模方法,虚拟对象与虚拟环境和用户之间进行自然、持续、深入交互等问题,智能对象建模的技术与方法体系。
7.智能计算芯片与系统。研发神经网络处理器以及高能效、可重构类脑计算芯片等,新型感知芯片与系统、智能计算体系结构与系统,人工智能操作系统。研究适合人工智能的混合计算架构等。
8.自然语言处理技术。研究短文本的计算与分析技术,跨语言文本挖掘技术和面向机器认知智能的语义理解技术,多媒体信息理解的人机对话系统。
3.统筹布局人工智能创新平台。
建设布局人工智能创新平台,强化对人工智能研发应用的基础支撑。人工智能开源软硬件基础平台重点建设支持知识推理、概率统计、深度学习等人工智能范式的统一计算框架平台,形成促进人工智能软件、硬件和智能云之间相互协同的生态链。群体智能服务平台重点建设基于互联网大规模协作的知识资源管理与开放式共享工具,形成面向产学研用创新环节的群智众创平台和服务环境。混合增强智能支撑平台重点建设支持大规模训练的异构实时计算引擎和新型计算集群,为复杂智能计算提供服务化、系统化平台和解决方案。自主无人系统支撑平台重点建设面向自主无人系统复杂环境下环境感知、自主协同控制、智能决策等人工智能共性核心技术的支撑系统,形成开放式、模块化、可重构的自主无人系统开发与试验环境。人工智能基础数据与安全检测平台重点建设面向人工智能的公共数据资源库、标准测试数据集、云服务平台等,形成人工智能算法与平台安全性测试评估的方法、技术、规范和工具集。促进各类通用软件和技术平台的开源开放。各类平台要按照军民深度融合的要求和相关规定,推进军民共享共用。
专栏3 基础支撑平台
1.人工智能开源软硬件基础平台。建立大数据人工智能开源软件基础平台、终端与云端协同的人工智能云服务平台、新型多元智能传感器件与集成平台、基于人工智能硬件的新产品设计平台、未来网络中的大数据智能化服务平台等。
2.群体智能服务平台。建立群智众创计算支撑平台、科技众创服务系统、群智软件开发与验证自动化系统、群智软件学习与创新系统、开放环境的群智决策系统、群智共享经济服务系统。
3.混合增强智能支撑平台。建立人工智能超级计算中心、大规模超级智能计算支撑环境、在线智能教育平台、“人在回路”驾驶脑、产业发展复杂性分析与风险评估的智能平台、支撑核电安全运营的智能保障平台、人机共驾技术研发与测试平台等。
4.自主无人系统支撑平台。建立自主无人系统共性核心技术支撑平台,无人机自主控制以及汽车、船舶和轨道交通自动驾驶支撑平台,服务机器人、空间机器人、海洋机器人、极地机器人支撑平台,智能工厂与智能控制装备技术支撑平台等。
5.人工智能基础数据与安全检测平台。建设面向人工智能的公共数据资源库、标准测试数据集、云服务平台,建立人工智能算法与平台安全性测试模型及评估模型,研发人工智能算法与平台安全性测评工具集。
4.加快培养聚集人工智能高端人才。
把高端人才队伍建设作为人工智能发展的重中之重,坚持培养和引进相结合,完善人工智能教育体系,加强人才储备和梯队建设,特别是加快引进全球顶尖人才和青年人才,形成我国人工智能人才高地。
培育高水平人工智能创新人才和团队。支持和培养具有发展潜力的人工智能领军人才,加强人工智能基础研究、应用研究、运行维护等方面专业技术人才培养。重视复合型人才培养,重点培养贯通人工智能理论、方法、技术、产品与应用等的纵向复合型人才,以及掌握“人工智能+”经济、社会、管理、标准、法律等的横向复合型人才。通过重大研发任务和基地平台建设,汇聚人工智能高端人才,在若干人工智能重点领域形成一批高水平创新团队。鼓励和引导国内创新人才、团队加强与全球顶尖人工智能研究机构合作互动。
加大高端人工智能人才引进力度。开辟专门渠道,实行特殊政策,实现人工智能高端人才精准引进。重点引进神经认知、机器学习、自动驾驶、智能机器人等国际顶尖科学家和高水平创新团队。鼓励采取项目合作、技术咨询等方式柔性引进人工智能人才。统筹利用“千人计划”等现有人才计划,加强人工智能领域优秀人才特别是优秀青年人才引进工作。完善企业人力资本成本核算相关政策,激励企业、科研机构引进人工智能人才。
建设人工智能学科。完善人工智能领域学科布局,设立人工智能专业,推动人工智能领域一级学科建设,尽快在试点院校建立人工智能学院,增加人工智能相关学科方向的博士、硕士招生名额。鼓励高校在原有基础上拓宽人工智能专业教育内容,形成“人工智能+X”复合专业培养新模式,重视人工智能与数学、计算机科学、物理学、生物学、心理学、社会学、法学等学科专业教育的交叉融合。加强产学研合作,鼓励高校、科研院所与企业等机构合作开展人工智能学科建设。
(二)培育高端高效的智能经济。
加快培育具有重大引领带动作用的人工智能产业,促进人工智能与各产业领域深度融合,形成数据驱动、人机协同、跨界融合、共创分享的智能经济形态。数据和知识成为经济增长的第一要素,人机协同成为主流生产和服务方式,跨界融合成为重要经济模式,共创分享成为经济生态基本特征,个性化需求与定制成为消费新潮流,生产率大幅提升,引领产业向价值链高端迈进,有力支撑实体经济发展,全面提升经济发展质量和效益。
1.大力发展人工智能新兴产业。
加快人工智能关键技术转化应用,促进技术集成与商业模式创新,推动重点领域智能产品创新,积极培育人工智能新兴业态,布局产业链高端,打造具有国际竞争力的人工智能产业集群。
智能软硬件。开发面向人工智能的操作系统、数据库、中间件、开发工具等关键基础软件,突破图形处理器等核心硬件,研究图像识别、语音识别、机器翻译、智能交互、知识处理、控制决策等智能系统解决方案,培育壮大面向人工智能应用的基础软硬件产业。
智能机器人。攻克智能机器人核心零部件、专用传感器,完善智能机器人硬件接口标准、软件接口协议标准以及安全使用标准。研制智能工业机器人、智能服务机器人,实现大规模应用并进入国际市场。研制和推广空间机器人、海洋机器人、极地机器人等特种智能机器人。建立智能机器人标准体系和安全规则。
智能运载工具。发展自动驾驶汽车和轨道交通系统,加强车载感知、自动驾驶、车联网、物联网等技术集成和配套,开发交通智能感知系统,形成我国自主的自动驾驶平台技术体系和产品总成能力,探索自动驾驶汽车共享模式。发展消费类和商用类无人机、无人船,建立试验鉴定、测试、竞技等专业化服务体系,完善空域、水域管理措施。
虚拟现实与增强现实。突破高性能软件建模、内容拍摄生成、增强现实与人机交互、集成环境与工具等关键技术,研制虚拟显示器件、光学器件、高性能真三维显示器、开发引擎等产品,建立虚拟现实与增强现实的技术、产品、服务标准和评价体系,推动重点行业融合应用。
智能终端。加快智能终端核心技术和产品研发,发展新一代智能手机、车载智能终端等移动智能终端产品和设备,鼓励开发智能手表、智能耳机、智能眼镜等可穿戴终端产品,拓展产品形态和应用服务。
物联网基础器件。发展支撑新一代物联网的高灵敏度、高可靠性智能传感器件和芯片,攻克射频识别、近距离机器通信等物联网核心技术和低功耗处理器等关键器件。
2.加快推进产业智能化升级。
推动人工智能与各行业融合创新,在制造、农业、物流、金融、商务、家居等重点行业和领域开展人工智能应用试点示范,推动人工智能规模化应用,全面提升产业发展智能化水平。
智能制造。围绕制造强国重大需求,推进智能制造关键技术装备、核心支撑软件、工业互联网等系统集成应用,研发智能产品及智能互联产品、智能制造使能工具与系统、智能制造云服务平台,推广流程智能制造、离散智能制造、网络化协同制造、远程诊断与运维服务等新型制造模式,建立智能制造标准体系,推进制造全生命周期活动智能化。
智能农业。研制农业智能传感与控制系统、智能化农业装备、农机田间作业自主系统等。建立完善天空地一体化的智能农业信息遥感监测网络。建立典型农业大数据智能决策分析系统,开展智能农场、智能化植物工厂、智能牧场、智能渔场、智能果园、农产品加工智能车间、农产品绿色智能供应链等集成应用示范。
智能物流。加强智能化装卸搬运、分拣包装、加工配送等智能物流装备研发和推广应用,建设深度感知智能仓储系统,提升仓储运营管理水平和效率。完善智能物流公共信息平台和指挥系统、产品质量认证及追溯系统、智能配货调度体系等。
智能金融。建立金融大数据系统,提升金融多媒体数据处理与理解能力。创新智能金融产品和服务,发展金融新业态。鼓励金融行业应用智能客服、智能监控等技术和装备。建立金融风险智能预警与防控系统。
智能商务。鼓励跨媒体分析与推理、知识计算引擎与知识服务等新技术在商务领域应用,推广基于人工智能的新型商务服务与决策系统。建设涵盖地理位置、网络媒体和城市基础数据等跨媒体大数据平台,支撑企业开展智能商务。鼓励围绕个人需求、企业管理提供定制化商务智能决策服务。
智能家居。加强人工智能技术与家居建筑系统的融合应用,提升建筑设备及家居产品的智能化水平。研发适应不同应用场景的家庭互联互通协议、接口标准,提升家电、耐用品等家居产品感知和联通能力。支持智能家居企业创新服务模式,提供互联共享解决方案。
3.大力发展智能企业。
大规模推动企业智能化升级。支持和引导企业在设计、生产、管理、物流和营销等核心业务环节应用人工智能新技术,构建新型企业组织结构和运营方式,形成制造与服务、金融智能化融合的业态模式,发展个性化定制,扩大智能产品供给。鼓励大型互联网企业建设云制造平台和服务平台,面向制造企业在线提供关键工业软件和模型库,开展制造能力外包服务,推动中小企业智能化发展。
推广应用智能工厂。加强智能工厂关键技术和体系方法的应用示范,重点推广生产线重构与动态智能调度、生产装备智能物联与云化数据采集、多维人机物协同与互操作等技术,鼓励和引导企业建设工厂大数据系统、网络化分布式生产设施等,实现生产设备网络化、生产数据可视化、生产过程透明化、生产现场无人化,提升工厂运营管理智能化水平。
加快培育人工智能产业领军企业。在无人机、语音识别、图像识别等优势领域加快打造人工智能全球领军企业和品牌。在智能机器人、智能汽车、可穿戴设备、虚拟现实等新兴领域加快培育一批龙头企业。支持人工智能企业加强专利布局,牵头或参与国际标准制定。推动国内优势企业、行业组织、科研机构、高校等联合组建中国人工智能产业技术创新联盟。支持龙头骨干企业构建开源硬件工厂、开源软件平台,形成集聚各类资源的创新生态,促进人工智能中小微企业发展和各领域应用。支持各类机构和平台面向人工智能企业提供专业化服务。
4.打造人工智能创新高地。
结合各地区基础和优势,按人工智能应用领域分门别类进行相关产业布局。鼓励地方围绕人工智能产业链和创新链,集聚高端要素、高端企业、高端人才,打造人工智能产业集群和创新高地。
开展人工智能创新应用试点示范。在人工智能基础较好、发展潜力较大的地区,组织开展国家人工智能创新试验,探索体制机制、政策法规、人才培育等方面的重大改革,推动人工智能成果转化、重大产品集成创新和示范应用,形成可复制、可推广的经验,引领带动智能经济和智能社会发展。
建设国家人工智能产业园。依托国家自主创新示范区和国家高新技术产业开发区等创新载体,加强科技、人才、金融、政策等要素的优化配置和组合,加快培育建设人工智能产业创新集群。
建设国家人工智能众创基地。依托从事人工智能研究的高校、科研院所集中地区,搭建人工智能领域专业化创新平台等新型创业服务机构,建设一批低成本、便利化、全要素、开放式的人工智能众创空间,完善孵化服务体系,推进人工智能科技成果转移转化,支持人工智能创新创业。
(三)建设安全便捷的智能社会。
围绕提高人民生活水平和质量的目标,加快人工智能深度应用,形成无时不有、无处不在的智能化环境,全社会的智能化水平大幅提升。越来越多的简单性、重复性、危险性任务由人工智能完成,个体创造力得到极大发挥,形成更多高质量和高舒适度的就业岗位;精准化智能服务更加丰富多样,人们能够最大限度享受高质量服务和便捷生活;社会治理智能化水平大幅提升,社会运行更加安全高效。
1.发展便捷高效的智能服务。
围绕教育、医疗、养老等迫切民生需求,加快人工智能创新应用,为公众提供个性化、多元化、高品质服务。
智能教育。利用智能技术加快推动人才培养模式、教学方法改革,构建包含智能学习、交互式学习的新型教育体系。开展智能校园建设,推动人工智能在教学、管理、资源建设等全流程应用。开发立体综合教学场、基于大数据智能的在线学习教育平台。开发智能教育助理,建立智能、快速、全面的教育分析系统。建立以学习者为中心的教育环境,提供精准推送的教育服务,实现日常教育和终身教育定制化。
智能医疗。推广应用人工智能治疗新模式新手段,建立快速精准的智能医疗体系。探索智慧医院建设,开发人机协同的手术机器人、智能诊疗助手,研发柔性可穿戴、生物兼容的生理监测系统,研发人机协同临床智能诊疗方案,实现智能影像识别、病理分型和智能多学科会诊。基于人工智能开展大规模基因组识别、蛋白组学、代谢组学等研究和新药研发,推进医药监管智能化。加强流行病智能监测和防控。
智能健康和养老。加强群体智能健康管理,突破健康大数据分析、物联网等关键技术,研发健康管理可穿戴设备和家庭智能健康检测监测设备,推动健康管理实现从点状监测向连续监测、从短流程管理向长流程管理转变。建设智能养老社区和机构,构建安全便捷的智能化养老基础设施体系。加强老年人产品智能化和智能产品适老化,开发视听辅助设备、物理辅助设备等智能家居养老设备,拓展老年人活动空间。开发面向老年人的移动社交和服务平台、情感陪护助手,提升老年人生活质量。
2.推进社会治理智能化。
围绕行政管理、司法管理、城市管理、环境保护等社会治理的热点难点问题,促进人工智能技术应用,推动社会治理现代化。
智能政务。开发适于政府服务与决策的人工智能平台,研制面向开放环境的决策引擎,在复杂社会问题研判、政策评估、风险预警、应急处置等重大战略决策方面推广应用。加强政务信息资源整合和公共需求精准预测,畅通政府与公众的交互渠道。
智慧法庭。建设集审判、人员、数据应用、司法公开和动态监控于一体的智慧法庭数据平台,促进人工智能在证据收集、案例分析、法律文件阅读与分析中的应用,实现法院审判体系和审判能力智能化。
智慧城市。构建城市智能化基础设施,发展智能建筑,推动地下管廊等市政基础设施智能化改造升级;建设城市大数据平台,构建多元异构数据融合的城市运行管理体系,实现对城市基础设施和城市绿地、湿地等重要生态要素的全面感知以及对城市复杂系统运行的深度认知;研发构建社区公共服务信息系统,促进社区服务系统与居民智能家庭系统协同;推进城市规划、建设、管理、运营全生命周期智能化。
智能交通。研究建立营运车辆自动驾驶与车路协同的技术体系。研发复杂场景下的多维交通信息综合大数据应用平台,实现智能化交通疏导和综合运行协调指挥,建成覆盖地面、轨道、低空和海上的智能交通监控、管理和服务系统。
智能环保。建立涵盖大气、水、土壤等环境领域的智能监控大数据平台体系,建成陆海统筹、天地一体、上下协同、信息共享的智能环境监测网络和服务平台。研发资源能源消耗、环境污染物排放智能预测模型方法和预警方案。加强京津冀、长江经济带等国家重大战略区域环境保护和突发环境事件智能防控体系建设。
3.利用人工智能提升公共安全保障能力。
促进人工智能在公共安全领域的深度应用,推动构建公共安全智能化监测预警与控制体系。围绕社会综合治理、新型犯罪侦查、反恐等迫切需求,研发集成多种探测传感技术、视频图像信息分析识别技术、生物特征识别技术的智能安防与警用产品,建立智能化监测平台。加强对重点公共区域安防设备的智能化改造升级,支持有条件的社区或城市开展基于人工智能的公共安防区域示范。强化人工智能对食品安全的保障,围绕食品分类、预警等级、食品安全隐患及评估等,建立智能化食品安全预警系统。加强人工智能对自然灾害的有效监测,围绕地震灾害、地质灾害、气象灾害、水旱灾害和海洋灾害等重大自然灾害,构建智能化监测预警与综合应对平台。
4.促进社会交往共享互信。
充分发挥人工智能技术在增强社会互动、促进可信交流中的作用。加强下一代社交网络研发,加快增强现实、虚拟现实等技术推广应用,促进虚拟环境和实体环境协同融合,满足个人感知、分析、判断与决策等实时信息需求,实现在工作、学习、生活、娱乐等不同场景下的流畅切换。针对改善人际沟通障碍的需求,开发具有情感交互功能、能准确理解人的需求的智能助理产品,实现情感交流和需求满足的良性循环。促进区块链技术与人工智能的融合,建立新型社会信用体系,最大限度降低人际交往成本和风险。
(四)加强人工智能领域军民融合。
深入贯彻落实军民融合发展战略,推动形成全要素、多领域、高效益的人工智能军民融合格局。以军民共享共用为导向部署新一代人工智能基础理论和关键共性技术研发,建立科研院所、高校、企业和军工单位的常态化沟通协调机制。促进人工智能技术军民双向转化,强化新一代人工智能技术对指挥决策、军事推演、国防装备等的有力支撑,引导国防领域人工智能科技成果向民用领域转化应用。鼓励优势民口科研力量参与国防领域人工智能重大科技创新任务,推动各类人工智能技术快速嵌入国防创新领域。加强军民人工智能技术通用标准体系建设,推进科技创新平台基地的统筹布局和开放共享。
(五)构建泛在安全高效的智能化基础设施体系。
大力推动智能化信息基础设施建设,提升传统基础设施的智能化水平,形成适应智能经济、智能社会和国防建设需要的基础设施体系。加快推动以信息传输为核心的数字化、网络化信息基础设施,向集融合感知、传输、存储、计算、处理于一体的智能化信息基础设施转变。优化升级网络基础设施,研发布局第五代移动通信(5G)系统,完善物联网基础设施,加快天地一体化信息网络建设,提高低时延、高通量的传输能力。统筹利用大数据基础设施,强化数据安全与隐私保护,为人工智能研发和广泛应用提供海量数据支撑。建设高效能计算基础设施,提升超级计算中心对人工智能应用的服务支撑能力。建设分布式高效能源互联网,形成支撑多能源协调互补、及时有效接入的新型能源网络,推广智能储能设施、智能用电设施,实现能源供需信息的实时匹配和智能化响应。
专栏4 智能化基础设施
1.网络基础设施。加快布局实时协同人工智能的5G增强技术研发及应用,建设面向空间协同人工智能的高精度导航定位网络,加强智能感知物联网核心技术攻关和关键设施建设,发展支撑智能化的工业互联网、面向无人驾驶的车联网等,研究智能化网络安全架构。加快建设天地一体化信息网络,推进天基信息网、未来互联网、移动通信网的全面融合。
2.大数据基础设施。依托国家数据共享交换平台、数据开放平台等公共基础设施,建设政府治理、公共服务、产业发展、技术研发等领域大数据基础信息数据库,支撑开展国家治理大数据应用。整合社会各类数据平台和数据中心资源,形成覆盖全国、布局合理、链接畅通的一体化服务能力。
3.高效能计算基础设施。继续加强超级计算基础设施、分布式计算基础设施和云计算中心建设,构建可持续发展的高性能计算应用生态环境。推进下一代超级计算机研发应用。
(六)前瞻布局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
针对我国人工智能发展的迫切需求和薄弱环节,设立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加强整体统筹,明确任务边界和研发重点,形成以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为核心、现有研发布局为支撑的“1+N”人工智能项目群。
“1”是指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聚焦基础理论和关键共性技术的前瞻布局,包括研究大数据智能、跨媒体感知计算、混合增强智能、群体智能、自主协同控制与决策等理论,研究知识计算引擎与知识服务技术、跨媒体分析推理技术、群体智能关键技术、混合增强智能新架构与新技术、自主无人控制技术等,开源共享人工智能基础理论和共性技术。持续开展人工智能发展的预测和研判,加强人工智能对经济社会综合影响及对策研究。
“N”是指国家相关规划计划中部署的人工智能研发项目,重点是加强与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的衔接,协同推进人工智能的理论研究、技术突破和产品研发应用。加强与国家科技重大专项的衔接,在“核高基”(核心电子器件、高端通用芯片、基础软件)、集成电路装备等国家科技重大专项中支持人工智能软硬件发展。加强与其他“科技创新2030—重大项目”的相互支撑,加快脑科学与类脑计算、量子信息与量子计算、智能制造与机器人、大数据等研究,为人工智能重大技术突破提供支撑。国家重点研发计划继续推进高性能计算等重点专项实施,加大对人工智能相关技术研发和应用的支持;国家自然科学基金加强对人工智能前沿领域交叉学科研究和自由探索的支持。在深海空间站、健康保障等重大项目,以及智慧城市、智能农机装备等国家重点研发计划重点专项部署中,加强人工智能技术的应用示范。其他各类科技计划支持的人工智能相关基础理论和共性技术研究成果应开放共享。
创新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组织实施模式,坚持集中力量办大事、重点突破的原则,充分发挥市场机制作用,调动部门、地方、企业和社会各方面力量共同推进实施。明确管理责任,定期开展评估,加强动态调整,提高管理效率。
四、资源配置
充分利用已有资金、基地等存量资源,统筹配置国际国内创新资源,发挥好财政投入、政策激励的引导作用和市场配置资源的主导作用,撬动企业、社会加大投入,形成财政资金、金融资本、社会资本多方支持的新格局。
(一)建立财政引导、市场主导的资金支持机制。
统筹政府和市场多渠道资金投入,加大财政资金支持力度,盘活现有资源,对人工智能基础前沿研究、关键共性技术攻关、成果转移转化、基地平台建设、创新应用示范等提供支持。利用现有政府投资基金支持符合条件的人工智能项目,鼓励龙头骨干企业、产业创新联盟牵头成立市场化的人工智能发展基金。利用天使投资、风险投资、创业投资基金及资本市场融资等多种渠道,引导社会资本支持人工智能发展。积极运用政府和社会资本合作等模式,引导社会资本参与人工智能重大项目实施和科技成果转化应用。
(二)优化布局建设人工智能创新基地。
按照国家级科技创新基地布局和框架,统筹推进人工智能领域建设若干国际领先的创新基地。引导现有与人工智能相关的国家重点实验室、企业国家重点实验室、国家工程实验室等基地,聚焦新一代人工智能的前沿方向开展研究。按规定程序,以企业为主体、产学研合作组建人工智能领域的相关技术和产业创新基地,发挥龙头骨干企业技术创新示范带动作用。发展人工智能领域的专业化众创空间,促进最新技术成果和资源、服务的精准对接。充分发挥各类创新基地聚集人才、资金等创新资源的作用,突破人工智能基础前沿理论和关键共性技术,开展应用示范。
(三)统筹国际国内创新资源。
支持国内人工智能企业与国际人工智能领先高校、科研院所、团队合作。鼓励国内人工智能企业“走出去”,为有实力的人工智能企业开展海外并购、股权投资、创业投资和建立海外研发中心等提供便利和服务。鼓励国外人工智能企业、科研机构在华设立研发中心。依托“一带一路”战略,推动建设人工智能国际科技合作基地、联合研究中心等,加快人工智能技术在“一带一路”沿线国家推广应用。推动成立人工智能国际组织,共同制定相关国际标准。支持相关行业协会、联盟及服务机构搭建面向人工智能企业的全球化服务平台。
五、保障措施
围绕推动我国人工智能健康快速发展的现实要求,妥善应对人工智能可能带来的挑战,形成适应人工智能发展的制度安排,构建开放包容的国际化环境,夯实人工智能发展的社会基础。
(一)制定促进人工智能发展的法律法规和伦理规范。
加强人工智能相关法律、伦理和社会问题研究,建立保障人工智能健康发展的法律法规和伦理道德框架。开展与人工智能应用相关的民事与刑事责任确认、隐私和产权保护、信息安全利用等法律问题研究,建立追溯和问责制度,明确人工智能法律主体以及相关权利、义务和责任等。重点围绕自动驾驶、服务机器人等应用基础较好的细分领域,加快研究制定相关安全管理法规,为新技术的快速应用奠定法律基础。开展人工智能行为科学和伦理等问题研究,建立伦理道德多层次判断结构及人机协作的伦理框架。制定人工智能产品研发设计人员的道德规范和行为守则,加强对人工智能潜在危害与收益的评估,构建人工智能复杂场景下突发事件的解决方案。积极参与人工智能全球治理,加强机器人异化和安全监管等人工智能重大国际共性问题研究,深化在人工智能法律法规、国际规则等方面的国际合作,共同应对全球性挑战。
(二)完善支持人工智能发展的重点政策。
落实对人工智能中小企业和初创企业的财税优惠政策,通过高新技术企业税收优惠和研发费用加计扣除等政策支持人工智能企业发展。完善落实数据开放与保护相关政策,开展公共数据开放利用改革试点,支持公众和企业充分挖掘公共数据的商业价值,促进人工智能应用创新。研究完善适应人工智能的教育、医疗、保险、社会救助等政策体系,有效应对人工智能带来的社会问题。
(三)建立人工智能技术标准和知识产权体系。
加强人工智能标准框架体系研究。坚持安全性、可用性、互操作性、可追溯性原则,逐步建立并完善人工智能基础共性、互联互通、行业应用、网络安全、隐私保护等技术标准。加快推动无人驾驶、服务机器人等细分应用领域的行业协会和联盟制定相关标准。鼓励人工智能企业参与或主导制定国际标准,以技术标准“走出去”带动人工智能产品和服务在海外推广应用。加强人工智能领域的知识产权保护,健全人工智能领域技术创新、专利保护与标准化互动支撑机制,促进人工智能创新成果的知识产权化。建立人工智能公共专利池,促进人工智能新技术的利用与扩散。
(四)建立人工智能安全监管和评估体系。
加强人工智能对国家安全和保密领域影响的研究与评估,完善人、技、物、管配套的安全防护体系,构建人工智能安全监测预警机制。加强对人工智能技术发展的预测、研判和跟踪研究,坚持问题导向,准确把握技术和产业发展趋势。增强风险意识,重视风险评估和防控,强化前瞻预防和约束引导,近期重点关注对就业的影响,远期重点考虑对社会伦理的影响,确保把人工智能发展规制在安全可控范围内。建立健全公开透明的人工智能监管体系,实行设计问责和应用监督并重的双层监管结构,实现对人工智能算法设计、产品开发和成果应用等的全流程监管。促进人工智能行业和企业自律,切实加强管理,加大对数据滥用、侵犯个人隐私、违背道德伦理等行为的惩戒力度。加强人工智能网络安全技术研发,强化人工智能产品和系统网络安全防护。构建动态的人工智能研发应用评估评价机制,围绕人工智能设计、产品和系统的复杂性、风险性、不确定性、可解释性、潜在经济影响等问题,开发系统性的测试方法和指标体系,建设跨领域的人工智能测试平台,推动人工智能安全认证,评估人工智能产品和系统的关键性能。
(五)大力加强人工智能劳动力培训。
加快研究人工智能带来的就业结构、就业方式转变以及新型职业和工作岗位的技能需求,建立适应智能经济和智能社会需要的终身学习和就业培训体系,支持高等院校、职业学校和社会化培训机构等开展人工智能技能培训,大幅提升就业人员专业技能,满足我国人工智能发展带来的高技能高质量就业岗位需要。鼓励企业和各类机构为员工提供人工智能技能培训。加强职工再就业培训和指导,确保从事简单重复性工作的劳动力和因人工智能失业的人员顺利转岗。
(六)广泛开展人工智能科普活动。
支持开展形式多样的人工智能科普活动,鼓励广大科技工作者投身人工智能的科普与推广,全面提高全社会对人工智能的整体认知和应用水平。实施全民智能教育项目,在中小学阶段设置人工智能相关课程,逐步推广编程教育,鼓励社会力量参与寓教于乐的编程教学软件、游戏的开发和推广。建设和完善人工智能科普基础设施,充分发挥各类人工智能创新基地平台等的科普作用,鼓励人工智能企业、科研机构搭建开源平台,面向公众开放人工智能研发平台、生产设施或展馆等。支持开展人工智能竞赛,鼓励进行形式多样的人工智能科普创作。鼓励科学家参与人工智能科普。
六、组织实施
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是关系全局和长远的前瞻谋划。必须加强组织领导,健全机制,瞄准目标,紧盯任务,以钉钉子的精神切实抓好落实,一张蓝图干到底。
(一)组织领导。
按照党中央、国务院统一部署,由国家科技体制改革和创新体系建设领导小组牵头统筹协调,审议重大任务、重大政策、重大问题和重点工作安排,推动人工智能相关法律法规建设,指导、协调和督促有关部门做好规划任务的部署实施。依托国家科技计划(专项、基金等)管理部际联席会议,科技部会同有关部门负责推进新一代人工智能重大科技项目实施,加强与其他计划任务的衔接协调。成立人工智能规划推进办公室,办公室设在科技部,具体负责推进规划实施。成立人工智能战略咨询委员会,研究人工智能前瞻性、战略性重大问题,对人工智能重大决策提供咨询评估。推进人工智能智库建设,支持各类智库开展人工智能重大问题研究,为人工智能发展提供强大智力支持。
(二)保障落实。
加强规划任务分解,明确责任单位和进度安排,制定年度和阶段性实施计划。建立年度评估、中期评估等规划实施情况的监测评估机制。适应人工智能快速发展的特点,根据任务进展情况、阶段目标完成情况、技术发展新动向等,加强对规划和项目的动态调整。
(三)试点示范。
对人工智能重大任务和重点政策措施,要制定具体方案,开展试点示范。加强对各部门、各地方试点示范的统筹指导,及时总结推广可复制的经验和做法。通过试点先行、示范引领,推进人工智能健康有序发展。
(四)舆论引导。
充分利用各种传统媒体和新兴媒体,及时宣传人工智能新进展、新成效,让人工智能健康发展成为全社会共识,调动全社会参与支持人工智能发展的积极性。及时做好舆论引导,更好应对人工智能发展可能带来的社会、伦理和法律等挑战。
'在 > 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진핑이 자금성에서 트럼프를 접대한 이유 (0) | 2017.11.09 |
---|---|
사드해결 합의문 발표후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 (0) | 2017.11.01 |
중국 전면적의 15%가 스모그에 뒤덮여, 마음을 굳게먹고 호흡을 줄여야 (0) | 2016.12.19 |
북경사람들이 이케아 쇼핑을 즐기는 이유 (0) | 2016.07.01 |
맹모삼천을 실천하는 중국의 학부모 (0) | 2016.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