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는 세계의 쓰레기통이 되지 않겠다.’ 지난해 7월 중국 정부는 이렇게 선언했다. 세계무역기구(WTO)에 폐플라스틱과 폐비닐, 폐종이 같은 폐자재 수입을 중단하겠다고 공지했다. 중국의 갑작스러운 쓰레기 수입 중단 선언에 주요 쓰레기 수출국은 ‘패닉’에 빠졌다. 쓰레기도 처리하고, 돈도 버는 요긴한 창구가 사라질 위기다. 지난해 연말 중국이 폐비닐·종이 쓰레기 수입 중단에 들어가자 미국·영국·독일 등 주요 쓰레기 수출국의 반발이 쏟아졌다. WTO에 항의도 하고 중재도 요청했다. 한국 정부가 지난달 23일 WTO 상품무역이사회에서 중국의 폐기물 수입금지 조치에 대한 우려 입장을 밝힌 것도 그 일환이다. 중국은 꿈쩍하지 않았다. 올해부터 각국 내에서 쓰레기 처리 대란이 벌어질 것이란 우려가 이어졌다.
지난 20여 년간 중국은 세계의 재활용 수거통 역할을 했다. 2016년 미국은 폐플라스틱·비닐을 포함해 폐종이, 고철 등 1600만t을 수출해 52억 달러를 벌어들였는데, 이는 “올림픽 기준에 맞는 수영장 1만 개 이상을 채울 수 있는 양”이다. 중국은 2016년 730만t의 폐플라스틱·비닐을 수입했다. 금액으로는 37억 달러에 달한다. 세계 폐플라스틱·비닐 수입량의 절반 이상인 56%를 차지하는 규모다. 미국과 일본이 중국으로 폐플라스틱을 수출하는 주요 국가다
1980년대 이후 중국은 고도성장을 이루면서 자원 부족에 시달렸다. 폐가전, 고철, 폐플라스틱 수입은 싼값에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폐기물 수입은 지난 30년간 중국의 고도성장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오염물질이 중국의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고도성장 후 경제가 궤도에 오르면서 중국인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왕주량(王久良) 감독이 연출해 2016년 선보인 중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수랴오왕국(塑料王国,Plastic China)는 중국인들의 환경에 대한 관심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 영화다.폐플라스틱 처리 공장이 삶의 터전인 사람들의 얘기다. 거대한 쓰레기 산 옆에서 이들은 플라스틱을 태울 때 나오는 지독한 연기와 액체를 먹고 마시고 잠을 잔다. 그리고 원인 모를 병에 시달린다. 중국인도 몰랐던 중국의 현실이다. 영화는 개봉과 함께 중국 전역에 충격을 가져다줬다.
영화 ‘플라스틱 차이나’는 수면 아래 있던 폐쓰레기 수입·처리에 대해 중국인이 불만을 터뜨리는 기폭제 역할을 했다. 사라진 ‘세계의 쓰레기통’ 탓에 각국 정부는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는 중이다.
'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명의 술 마오타이주 (0) | 2018.04.03 |
---|---|
텐궁1호 공중추락 (0) | 2018.04.01 |
11명의 여성을 강간살해한 연쇄살인마 (0) | 2018.03.31 |
공유여친 (0) | 2018.03.30 |
중국군 유해 인도 (0) | 2018.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