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들은 ‘물건’이라는 말을 ‘둥시(東西)’라고 한다. ’물건을 사다’는 뜻의 중국어는 ‘마이둥시(買東西)’다. 동쪽(東)과 서쪽(西)을 산다고? 중국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은 의아해할 수밖에 없다. 이 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곳이 바로 산시(陝西)성 시안(西安)이다. 당(唐)나라 시절 창안(長安·지금의 시안)에는 두 개의 시장이 있었다. 시내 동쪽에 있는 시장(東市)에서는 주로 대륙의 물건을 팔았고, 서쪽 시장(西市)에서는 실크로드를 통해 서역에서 들어온 물건을 주로 팔았다. 동·서 시장에 간다는 것은 곧 물건을 사기 위함이었고, 그래서 ‘둥시(東西)’라는 말은 물건을 뜻하게 됐다고 중국 언어학자들은 설명한다.
시안 시내의 ‘대당서시(大唐西市)’는 그 역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곳이다. 창안 서시(西市)가 있던 바로 그곳에 들어선 국제시장이다. 지난 10일 방문한 대당서시에서는 옛 서역 교역시장의 명성을 말해주듯 중앙아시아, 동남아, 한국, 일본 등 여러 나라의 물품들이 팔리고 있었다. 화려했던 고대 국제도시 시안의 위용이 잘 드러나 있다.
시안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사업을 통해서다. 황재원 KOTRA 시안관장은 이를 ‘천시(天時)·지리(地利)·인화(人和)’라는 측면에서 설명한다.
산시성 ‘일대일로 5개 중심 전략’ 제시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 정책으로 시안 경제가 도약을 위한 최고의 시기(天時)를 맞고 있다. 시안의 우수한 인재, 첨단산업 등이 일대일로와 만나 꽃을 피우려 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시안은 실크로드의 시발점이라는 지리적 이점(地利)이 있다. 여기에 시안이 갖고 있는 중원 문화가 겹쳐지면서 시안은 일대일로 사업의 인문 교류에서도 앞서 달리고 있다.”
황 관장은 “시진핑 주석 등장 이후 시안이 베이징·상하이·광저우 등에 이은 제4의 거점도시로 부각되고 있다”며 “시안 시정부는 중국 서북(西北)지역의 중심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치밀한 정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앙정부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한 산시성 정부의 대응은 민첩하다. 산시성은 최근 발표한 ‘일대일로 행동계획’을 통해 ‘5개 중심 전략’을 제시했다. ‘교통·물류 중심’ ‘과학혁신 중심’ ‘산업협력 중심’ ‘문화여행 중심’ ‘금융협력 중심’ 등이 그것이다. 서북지역 경제의 ‘허브’가 되겠다는 뜻이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게 바로 ‘시안항(港)’ 프로젝트다.
"서쪽에 로마 있다면 동쪽엔 시안 있다"
‘과학혁신 중심’은 교육도시 시안이 갖고 있는 고급 인재 풀이 있기에 가능하다. 시안에는 약 40여 개의 대학에서 60만여 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다. 특히 이공계 학과가 강하다. 이 같은 여건을 바탕으로 시안에는 반도체·LED 등 IT 및 소프트웨어 산업이 폭넓게 발전하고 있다. 시안은 항공산업의 메카이기도 하다. 대형 수송기, 엔진 등이 생산되고 있다. 자동차는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분야다. BYD자동차가 이 지역에서 연간 생산량 70만 대 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있고, 지리(吉利)자동차도 30만 대 규모의 공장을 갖고 있다. 삼성반도체가 시안에 둥지를 튼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인재였다.
산시성의 발전은 우리에게도 기회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공장 투자를 계기로 시안은 중국 내 어느 다른 지역보다 한국 경제와의 긴밀도가 높은 도시로 다가오고 있다. 이강국 주(駐)시안 총영사는 “한국과 산시성의 교역량이 2013년 161.9%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72.5%나 늘었다”며 “중국 정부의 일대일로 정책, 시안의 과학기술산업 능력 등을 감안하면 산시성과의 경제협력 공간은 더 넓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총영사관이 시안에 한국 국제학교를 설립하려는 이유다.
한우덕 중국연구소 소장 woodyhan@joongang.co.kr
“산시(陝西)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의 시발점이자 중추다. 앞으로 한국과의 협력을 강화해 일대일로의 발전과 성공을 이루고 싶다.”
요즘 중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지방 지도자인 러우친젠(婁勤儉·59·사진) 산시 성장의 말이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고향인 산시성은 중국의 국가 장기발전 전략인 일대일로 중 육상 실크로드(一帶)의 출발점이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6월 시안(西安)을 방문하고 삼성이 이곳에 대규모 반도체 투자를 한 것은 일대일로를 통한 한국의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진출 전략으로 이해했다.
화중(華中)공학원에서 전자공학을 공부한 러우 성장은 신식산업부(미래부에 해당) 전자과학연구원 부원장을 거쳐 이 부서 부부장을 지낸 공학박사다. 중국 지방 지도자 중 첨단산업에 대한 가장 해박한 지식과 전략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근 그를 단독으로 만나 일대일로와 한국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 들어봤다.
-육상 실크로드는 시안에서 출발해 중앙아시아와 유럽 등 서쪽으로 나가는 국가 발전 전략이자 외교 전략이다. 그럼 시안의 동쪽에 위치한 한국은 어떻게 이 전략과 융화하고 서로 윈윈하는 발전 모델을 만들 수 있나.
“일대일로는 시진핑 주석이 2013년 카자흐스탄에서 제창했다. 2000년 역사의 실크로드를 따라 세계가 인문 교류와 무역을 활성화하자는 취지다. 따라서 꼭 물리적 거리와 위치 개념에 구속될 필요는 없다. 육상 실크로드, 다른 한편엔 해상 실크로드가 있다. 시안은 육상 실크로드의 시발점이자 중추다. 따라서 이곳을 통해 물류와 인문 교류가 시작된다. 이는 동시에 시안을 통해 동부, 즉 한국과 일본으로 인문과 무역 등 교류가 시작된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한국은 시안을 통해 상품과 문화를 중앙아시아와 유럽 등 서쪽으로 수출할 수 있다. 동시에 중앙아시아와 유럽, 중동의 물류는 시안을 통해 한국과 교류가 가능하다. 이미 시안에는 보세구 등 관련 제도와 시설이 완비돼 있어 산시성의 전방 항구로 볼 수 있다.
중앙정부는 현재 서부 대개발을 적극 지지하고 있고, 박근혜 대통령도 “일대일로라는 순풍의 차량에 타야 한다”라고 말했다. 삼성 역시 투자를 통해 시장을 개척하고 중국과 공동 발전을 꾀하고 있는데 매우 탁월한 안목이다.”
-삼성이 시안에 대규모 반도체 투자를 했다. 이후 역내 경제에 어떤 효과가 있나.
“삼성과 산시성은 서로 윈윈 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삼성은 투자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반도체 기업이 됐다. 또 중국의 거대한 서부 시장과 중앙아시아·중동·유럽으로 진출하는 발판을 만들었다. 산시성은 삼성의 투자로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역내 산업 선진화를 할 수 있게 됐다.”
-한국 기업 유치를 위해 한국 기업 전용 공단을 만든다고 들었다. 현재 진척 상황은.
“삼성이 투자한 곳 옆에 량자탄(梁家灘)이란 곳이 있다. 이곳에 국제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한 작업이 한창이다. 이미 하천 물길도 잡았고, 주변 환경 정리도 끝났다. 이후 현지 주민들의 정착이 시작됐고, 관련 건설작업이 진행 중이다. 왜 커뮤니티인가. 기업 유치는 단순히 기업이 들어오는 게 아니고 그 기업에 근무하는 외국인들의 문화와 생활이 들어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산시로 오는 한국 등 외국 기업 종사자들과 그 가족들의 편리한 생활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가 유치된 기업 종업원 자녀들의 학교와 병원 등 생활 기반 인프라 건설을 중시하는 이유다.
사실 삼성이 투자할 때 신라호텔이 책임지고 쇼핑센터와 병원·호텔을 짓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한국 국내법 등 여러 제도적 어려움이 있어 (삼성은) 우리가 해주길 바랐고, 우리는 계속 노력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6월) 시안을 방문해 한국의 중소기업도 삼성처럼 대우해 줄 수 있느냐고 물었을 때 깜짝 놀랐다. 대통령이 이 정도로 세심하게 챙길 줄 몰랐고, (중소기업을 삼성과 동일하게 봐 달라는 주문을) 잊지 않고 있다. 이는 한국이 일대일로를 보는 정확한 전략이라고 본다.”
"드라마·영화 한국과 공동제작 늘리고 싶어"
-반도체 등 전자산업은 미세먼지에 민감하다. 산시는 스모그 등 환경 오염이 심한데 이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시안(西安) 13개 왕조가 도읍을 정할 정도로 거주 환경이 좋았다. 중국 역사를 보면 자연환경이 가장 좋은 곳이 가장 빠른 발전을 이뤘다. 산시 남쪽과 북쪽은 바람이 적어 오염된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재 석탄 등 오염물질 배출을 통제하고 있어 큰 문제는 없다. 성내 농가에서 사용하는 보일러 연료를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바꾸고 있다. 자연환경은 최고 수준이다. 예컨대 남쪽의 친링(秦嶺) 주변에는 72개의 개천이 황허로 흘러간다. 현재 환경 문제를 정책의 제1 순위에 두고 있어 오염 문제는 갈수록 개선되고 있다.”
-일대일로 건설에 어려운 점은 없나.
“(실크로드) 거리가 수천㎞에 달해 너무 멀다는 게 도전이다. 2000년의 실크로드 역사를 보면 (그 거리 때문에)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 당나라 고승 현장은 경전을 얻기 위해 실크로드를 왕복하는 데 17년이 걸렸다. 인문 교류가 그만큼 쉽지 않다는 뜻이다. 그래서 구간별 지역 중심 육성을 통해 이 난점을 해결할 것이다.”
-일대일로는 문화 교류의 통로이기도 하다. 한국과의 문화 교류 계획은.
“시안은 중국 고대문화의 메카라 할 수 있다. 기회가 되면 병마용을 포함한 중국 문화의 정수를 한국에서 전시하고 싶다. 지난 5월 시안에 경주의 다보탑을 세웠고, 매년 부산영화제와도 교류하고 있다. 또 드라마와 영화 등을 공동 제작하며 중·한 문화 교류를 늘리고 있는데 더 확대하고 싶다. 산시성은 역사적으로 문화 교류의 중심이었다.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에서는 아직도 십수만 명이 산시성 방언을 사용하고 있다. 산시성과 관련된 이야기나 노래도 많다. 역사적으로 그만큼 교류가 많았다는 뜻이다.”
시안=최형규 특파원 chkcy@joongang.co.kr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84년작 영화 ‘황토지(黃土地)’는 중국 5세대 영화의 효시다. 베이징영화학원의 78학번 첸카이거(陳凱歌)가 연출을, 장이머우(張藝謀)가 촬영을 맡았다. 39년 척박한 황토 고원인 옌안(延安) 소비에트 근거지에서 펼쳐지는 민중의 이야기를 그렸다. 황토지의 무대 산시(陝西)성이 굴기(起·우뚝 섬)하고 있다. 중심에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있다. 산시성 출신이거나 산시성 근무 경력이 있는 엘리트 집단을 말하는 산시방(陝西幇)을 중국 리더십 연구의 권위자인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리청(李成) 선톤차이나센터 연구주임은 시진핑 시대의 파워하우스로 지목했다.
산시방은 다수파다. 정치국 상무위원 7명 중 3명(43%), 정치국원 25명 중 8명(32%), 중앙군사위원 11명 중 4명(36%)을 차지한다. 마오쩌둥(毛澤東) 시대의 후난(湖南)·후베이(湖北), 덩샤오핑(鄧小平) 시대의 쓰촨(四川), 장쩌민(江澤民)·후진타오(胡錦濤) 시대의 장쑤(江蘇)·산둥(山東)을 잇는 지역 인맥이다.
올 2월 15일 고향 산시성을 찾은 시진핑 국가주석이 시안 고성에 올라 나들이를 나온 시민들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 인민일보 해외망]
시진핑에게 산시성은 각별하다. 부친 시중쉰(習仲勳·1913~2002)의 고향이자 정치적 근거지여서다. 시진핑 자신도 하방 생활 7년을 산시성 옌촨(延川)에서 보냈다. 시진핑은 과거 인터뷰에서 “나는 옌안인(延安人)이다. 산시는 뿌리(根), 옌안은 혼(魂)”이라고 말했다. 올 2월 설 바로 전날 옌촨의 량자허(梁家河)촌을 다시 찾았다. 산시성에 대한 그의 애착을 담은 행보다.
리청 박사는 7인의 상무위원 중 시진핑·위정성(兪正聲)·왕치산(王岐山)을 산시방 클럽의 ‘철삼각(鐵三角)’으로 불렀다. 위정성은 1945년 옌안에서 태어났다. 52년 위정성의 모친인 판진(范瑾·1919∼2009)은 베이징일보 사장 겸 베이징시 선전부 부부장으로 근무했다. 당시 시중쉰은 중앙선전부 부장을 맡고 있었다. 이처럼 시진핑 집안과 위정성 집안의 인연은 7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왕치산은 시진핑과 40여 년 전 하방 당시 처음 만났다. 리청 박사는 시 주석이 베이징으로 여행하던 중 왕치산이 머무르던 마을에 들러 그와 함께 한 침대를 쓴 경험이 있다고 말한다. 왕치산의 별명은 ‘소방대장’이다. 98년 아시안 금융위기 직후 광둥(廣東)성 금융위기를, 2002년 하이난(海南)성 악성 부동산 버블 문제를 깔끔하게 처리했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는 베이징 시장으로 사스 위기를 해결했다. 2011년 티머시 가이트너 미국 재무장관은 미국을 방문한 왕치산에게 뉴욕소방대 모자를 선물해 화제가 됐다.
부패 척결, 경제위기 해결 ‘소방대장’
왕치산은 시 주석에게도 소방대장이다. 2012년 총서기에 취임한 시진핑에게는 세 가지 도전이 앞에 놓여 있었다. 부패, 보시라이(薄熙來) 재판, 경기 부진이었다. 모두 왕치산이 해결사 역할을 했다. 왕치산은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를 맡아 반부패 캠페인을 주도했다. 전례 없이 강도 높은 반부패로 시진핑의 “파리와 호랑이를 모두 척결한다”는 지시를 충실하게 수행하고 있다. 왕치산은 보시라이 재판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했다. 근거는 세 가지다. 첫째, 재판의 초점을 불법행위가 아닌 보시라이의 부패에 맞췄다. 둘째, 재판 과정을 SNS를 활용해 공개했다. 불투명한 재판이라는 비판을 잠재웠다. 셋째, 무기징역이란 절묘한 형량이다. 심하지도, 관대하지도 않은 신의 한 수로 평가받는다. 올해에는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까지 처리에 성공했다. 경제 위기 해결도 왕치산의 활약이 컸다.
시진핑은 중산층 생활을 약속했다. ‘중국의 꿈’이다. 금융개혁은 3중전회 개혁안의 핵심이다. 민영은행과 외국 금융기관을 조인트 벤처로 엮어 시장 개혁을 심화시키겠다는 복안이다. 금융자유화는 민영기업으로 더 많은 자금을 흘러가게 만들 수 있다. 왕치산은 금융 전문가다. 금융 전문가라는 왕치산의 국제적 명성은 시진핑의 자산이다. 시진핑 경제팀인 러우지웨이(樓繼偉) 재정부장,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 리웨이 국무원발전연구중심 주임, 톈궈리(田國立) 중국은행장의 후견인이 왕치산이다. 톈후이위(田惠宇) 차오상(招商)은행장은 왕치산의 전 비서였다.
산시방은 상무위원 이외에도 막강하게 포진해 있다. 리잔수(栗戰書) 중앙판공청 주임, 자오러지(趙樂際) 중앙조직부장이 산시방의 핵심 멤버다. 모두 2017년 19기 상무위원의 유력한 후보다. 리잔수 주임은 허베이(河北)성 핑산(平山)현의 혁명가 집안 출신이다. 허베이·산시·헤이룽장·구이저우성에서 두루 근무했다. 허베이성 공청단 근무 경력도 있다. 산시성 조직부장, 시안(西安)시 당서기, 산시성 부서기를 역임했다. 시 주석과의 친분은 3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 주석이 허베이 정딩현(正定縣) 서기(1982~85)였을 때 리잔수는 우지(無極)현 서기(1983~85)였다. 두 현은 불과 30㎞ 떨어져 있다.
중앙판공청 주임, 중앙조직부장 포진
자오러지 부장은 시 주석의 인력관리 담당이다. 수천 명의 고급 간부 인사를 맡고 있다. 시중쉰과 자오러지의 부친 자오서우산(趙壽山)이 친한 친구였다는 설이 전한다. 자오러지는 산시방의 대변인으로 통한다. 산시 태생에 사투리가 강하다. 동생인 자오러친(趙樂秦) 역시 산시성에서 잔뼈가 굵었다. 현재 광시(廣西) 좡족자치구 구이린(桂林)시 당서기다.
리젠궈(李建國)는 전인대 부위원장으로 정치국원이다. 전임자와 달리 정치국원이 됐다. 의외였다. 승진의 비밀은 산시성 서기 10년 근무 경력에 있다. 시중쉰 탄생 100주년 기념식에서 핵심 연설을 한 사실과도 무관치 않다.
마카이(馬凱) 부총리 역시 시안에서 성장했다. 최근 국가제조강국영도소조 조장을 맡아 중국을 제조업 대국에서 강국으로 탈바꿈시키는 막중한 임무를 맡았다.
왕천(王晨) 전인대 부위원장 겸 비서장도 산시성에서 하방 생활을 했다. 지방 근무 경력도 있어 산시방에 포함된다. 리젠궈의 선례를 따라 정치국원 승진 가능성이 크다.
허이팅(何毅亭) 중앙당교 부교장도 산시성이 고향이다. 허이팅 부교장은 ‘반부패 운동’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공무원 청렴 규정인 ‘8항 규정’ 등을 만들었다. 공산당의 두뇌 격인 중앙정책연구실 부주임을 겸직하고 있어 왕후닝 주임의 뒤를 이을 전망이다.
신경진 기자 xiaokang@joongang.co.kr
'在 > 秦'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에서 채취한 즉석 염소젖 드세요 (0) | 2015.08.13 |
---|---|
투신여성을 말리지않고 쳐다만 본 중국인들 (0) | 2015.08.11 |
시안 그리고 창안의 회민가 (0) | 2015.07.17 |
오늘 아침 시안 기차역에서 위구르족 남자, 경찰 총에 맞다 (0) | 2015.06.17 |
중국의 꿈, 시안 (0) | 2015.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