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내년 3월 경질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 중국 베이징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을 내년 3월 교체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 FT는 베이징은 람 장관이 독단적으로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을 추진하다 현재의 상황을 맞았으며, 위기 대응 능력도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경질을 결정했다고 전했다. 람 장관을 경질하는 사유로 베이징 권부는 람 장관의 리더십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일단 송환법을 중국과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추진하다 위기를 자초했다. 홍콩인들은 송환법이 제정되면 민주인사도 중국에 끌려갈 수 있다며 이에 결렬히 반대하고 있다. 시위 이후에도 람 장관은 수 많은 실수를 저질렀다. 그는 시위 초기에 시위의 기세를 누그러트릴 수도 있었으나 강공책으로 일관, 오히려 시위를 키웠다. 특히 10월 4일 복면금지법을 .. 더보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70년, 최빈국서 G2 경제대국 부상 ​지난 1949년 신중국이 건국된 이래 70년간의 비약적인 경제 발전을 두고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 등 관영 매체들은 상전벽해(桑田碧海 :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로 변함)라고 표현한다. 구소련의 원조에 기대야 했을 만큼 아시아 최빈국 신세였던 중국이 불과 70년 만에 미국과 맞먹는 주요 2개국(G2)으로 올라서고 세계 경제 성장의 최대 엔진으로 급부상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마오쩌둥(毛澤東·1893∼1976) 전 국가 주석의 철권 통치 아래 경제적 암흑기를 거쳐 덩샤오핑(鄧小平·1904∼1997)의 남순강화(南巡講話)로 개혁·개방에 신호탄을 올린 뒤 장쩌민(江澤民), 후진타오(胡錦濤)에 이어 시진핑(習近平) 주석이 정권을 잡으면서 세계 2위 경제 대국이자 세계 최대 제조업국으로 올라섰다. 지.. 더보기
홍콩시위로 가장 큰 덕을 본 대만 정치인 ​ 올여름은 홍콩 역사상 가장 불안한 여름이었다. 공권력은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반대에 나선 시민들을 무차별 공격했고 인권유린 역시 잇따랐다. 9월4일 캐리 람 행정장관은 송환법 철회를 공식 선언했다. 홍콩 시위대의 요구안 일부가 받아들여진 셈이다. 하지만 시위가 진정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이 문제는 홍콩에만 머물지 않는다. 타이완에도 미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홍콩 정부가 애초 송환법 추진을 추진하기 시작한 계기가 된 살인사건이 일어난 곳이 타이완이기도 하다. 송환법은 홍콩과 타이완을 운명공동체로 연결하고 있다. 홍콩은 타이완에 거울과 같은 존재다. 홍콩에서는 중화권 중 유일하게 민주주의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타이완에 대한 호감도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 국제 뉴스에 무관심한 타이완 .. 더보기
시진핑 주석은 안녕하신가 “중국공산당이 내년까지 버틸 수 있을까?” 지난 8월 12일 대만의 언론이 매우 흥미로운 뉴스를 보도했다. 대만의 독립을 주장하는 민진당 지지 매체인 자유시보(自由時報)는 미국에 도피 중인 중국인 재벌 궈원구이(郭文贵)의 말을 인용해, 베이징 최고지도부 내부에 공산당의 미래에 대한 위기감과 권력투쟁 조짐이 있다고 전했다. 자유시보가 인용한 궈원구이는 부동산 회사인 베이징 정취안(北京政泉)홀딩스 회장으로 중국 정계에 두터운 인맥을 가지고 있었으나, 2014년 8월 여러 범죄 혐의로 미국으로 도피한 인물이다. 그는 왕치산(王岐山) 부주석의 비리와 중국의 대미(對美) 간첩활동 등 비밀스러운 정보를 서방에 폭로해 중국 정부에 ‘눈엣가시’가 된 존재이다. 그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8월 초 베이다이허(北戴河)회의.. 더보기
중국 공산당원이 반드시 지켜야 할 100대 기율 예로부터 중국 공산당원은 기율이 엄격했다. 대표적인 것이 마오쩌둥이 1928년에 만들었다는 3대기율(三大紀律)과 8항주의(八項注意)다. 이 규칙을 어기는 당원은 즉시 사형이었다. 처벌은 가혹했지만, 효과는 뛰어났다. 3대기율이란 △지휘관의 명령에 복종한다 △인민의 것은 바늘하나 실오라기 한 올 취하지 않는다 △얻어낸 것은 공동분배한다는 것이다. 8항주의란 △말은 온화하게 한다 △매매는 공평하게 한다 △빌렸으면 되돌려준다 △손해를 끼치면 배상한다 △구타나 욕설을 하지 않는다 △농작물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부녀자를 희롱하지 않는다 △포로를 학대하지 않는다 등이다. 당시 중국의 국민당군이나 군벌부대, 일본군의 군기는 극히 문란해, 이들이 마을을 지나가게 되면 주민들의 재산을 강탈하거나 대문과 가옥을 뜯어 땔.. 더보기
중국 가구들의 칫수에 들어가 있는 또 다른 의미 명나라 때에 쓰였다는 ‘노반(鲁班经)’이라는 책이 있다. ​* 노반(鲁班/기원전 507~444년)은 춘추시대 노(鲁)나라 사람이다. 공수반(公輸班)이라고도 부르며, 수많은 공구들과 기계, 무기 등을 발명하여 중국 건축의 비조(鼻祖), 중국 목장(木匠)의 비조로 추앙받고 있다. 이 책은 건축에서 목공에 이르는 민간의 각 분야 장인(匠人)들의 업무용 지침서라고 하는데, 이 책의 가구 제작 관련 부분에는 이런 말이 있다고 한다. ​“등자(凳子, 등받이 없는 의자)는 3을 떠나면 안 되고, 문은 5를, 침상은 7을, 관은 8, 탁자는 9를 떠나서는 안 된다.” 옛날 목공 장인(목수)들도 제자들에게 기술을 전수하면서 항상 이러한 말을 했다고하는데, 물건들의 구체적인 치수(尺寸)를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며 같은 음의.. 더보기
홍콩시위는 중국 민주화 혁명의 시작 ​ 홍콩 민주화 운동의 시발점은 2003년 7월 1일이었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날을 기념해 홍콩 시민 50만 명이 빅토리아 공원에 모였는데, 이들이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대로 변했다. 50만 집회는 홍콩 역사상 최대 규모였다. 시민들의 격렬한 반응에 홍콩 정부는 전면 후퇴를 선언했다. 홍콩 기본법 23조 개정 관련 조치를 무기한 연장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이 법을 추진한 안보장관은 사퇴해야 했다. 홍콩 시민들은 이때 피플파워(people power)의 위력을 깨달았다. 2012년엔 행정장관 렁춘잉에 의해 추진된 국민교육안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초등학교에 국민윤리 과목을 신설해 홍콩인들을 본토의 충실한 주민으로 만들겠다는 방안에 대해 중·고교생들이 반발하면서 시위의 선봉에 섰다. 이들은 .. 더보기
지폐와 투표용지의 선택에서 투표를 택한 대만 민중 ​ 郭台铭在初选过程中所表现的热诚和拼劲有目共睹,包括到农家借宿,到鱼市买鱼,到夜市“扫街”拜会。他在三场国民党国政愿景发表会,虽然不断看稿,但准备得很详尽。从他参选90天,能得到这样的成绩已经不错。但在心理上,郭台铭一直跨不过韩国瑜这个学弟(两人板桥国小前后届)的坎儿,他一直想要学韩国瑜的接地气。 接下来的时间里,郭台铭自然会思考是否要作战到1月11日。但我认为在这段浓缩的参选期间,郭暴露了他目前缺乏一个政治人物的基本心理素质,他更应该考量初选如何已经对他的一生功过造成负面的影响。特朗普的“富人+政治素人”模式未必能够成功地复制到台湾。 首先,郭台铭宣布参加国民党初选之时表示他不愿意接受征召,如果初选没有被选上,那表示他努力不够,他会尽力支持经初选产生的国民党总统候选人。但初选民调开征之后,郭仍然没有签署其他四名国民党参选人都签的公约,许多评论家认为这是为脱党参选留下后路。但有多少选.. 더보기
대만 국민당 대선 후보로 한궈위 확정 ​ 내년 1월 총통선거에 나설 대만 제1야당인 국민당의 총통후보가 한궈위(韩国瑜) 가오슝 시장으로 7월 15일 확정됐다. 현 가오슝시장인 한궈위는 국민당의 총 5명 총통후보 출마자중 가장 높은 44.805%의 지지율을 얻어 27.73%의 지지에 그친 강력한 경쟁자 훙하이그룹의 궈타이밍 회장을 예상밖의 큰 격차로 누르고 국민당 대선후보가 됐다. 주리룬(朱立倫) 전 국민당 주석(17.9%), 저우시웨이(周錫瑋) 전 타이베이현 현장, 장야중(張亞中) 쑨원대 총장이 그 뒤를 이었다. 15일 총통후보 지지 여론조사를 마친 국민당은 대선 후보 결정을 위해 오는 8일부터 14일까지 당내 여론조사를 진행했고, 이 결과를 29일 전당대회를 통해 확정하고 대선주자를 결정하게 된다. 2020년 대만 총통선거에 야당 대표로 .. 더보기
홍콩의 레논벽(Lennon Wall) ​ 체코 프라하에는 존 레넌의 벽이 있다. 체코가 공산주의 국가로 표현의 자유가 없던 시절인 1980년대에 자유를 원하는 체코의 청년들이 몰타 대사관 담벼락에 존 레논의 노래가사를 적고 존 레논의 그림을 그리면서 자유를 요구했다. 대사관은 치외법권이라서 체코 정부가 낙서를 지울 수 없었고, 이후 계속 자유와 평화를 원하는 이들의 낙서가 더해진 것이 지금의 존 레논 벽이다. 그 시기에 존 레논의 노래 ‘Imagine’은 냉전을 혐오하고 평화를 원하는 청년들에게는 가장 상징적인 노래였고, 존 레논은 반전주의자 및 평화주의자로 가장 유명한 상징성을 가진 인물이었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존 레논의 가사를 적고 존 레논을 그린 것이고, 존 레논 벽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2014년 우산혁명 때 홍콩 시민들은 체코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