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3·4분기 성장률이 6.9%로 집계됐다. 시장 예상치(6.8%)보다 높았지만 6년여 만에 처음으로 6%대로 떨어졌다. 경기회복세가 미약하다는 게 지표로 확인됐다. 경기둔화 우려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3.4분기 국내총생산(GDP) 총액은 19조906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9% 성장하는 데 머물렀는데 이는 생산, 투자 등 주요 지표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지난 2009년 1·4분기(6.2%) 이후 6년여 만에 처음 6%대로 하락했다. 올 들어 3.4분기까지 산업별 성장률을 보면 1차산업이 지난해 동기 대비 3.8%, 2차산업은 6.0%, 3차산업은 8.4%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기둔화로 산업생산, 고정자산 투자 등 주요 경기지표들이 하락했다. 국가통계국은 "중국의 3.4분기 성장률이 약간 하락했지만 안정적 기조하에서 성장하고 있다"면서도 "국내외 경제환경이 복잡하고 리스크가 있으며 중국경제의 하방 압력도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실상 중국 경기둔화에 따른 성장률 하락을 시인한 것으로 해석됐다.
국가통계국은 "세계 경제 회복세가 예상보다 더디고, 중국 경제의 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경기 둔화와 수출입 감소세가 뚜렷해진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동안 중국 경제를 이끌어온 투자와 생산이 부진한 게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올 들어 인민은행이 기준금리를 세 차례나 내렸지만 기업 투자는 15년 만에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1~9월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은 10.3%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5%포인트 가까이 떨어졌다. 작년 하반기만 해도 7~8%를 유지하던 산업생산 증가율도 9월 5.7%에 머물렀다.
산업생산은 이 기간 지난해 동기 대비 6.2% 증가했는데 이는 상반기(1.4~2.4분기)에 비해 0.1%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특히 국유기업과 대기업의 산업생산 증가율이 각각 1.3%, 1.7%로 해외기업(3.5%) 등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9월 산업생산 증가율도 지난해 동월 대비 5.7%로 전달(6.1%)에 비해 0.4%포인트 하락했다.
또한 올 들어 3.4분기까지 고정자산투자도 39조4531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3% 증가했지만 상반기와 비교해 1.1%포인트 둔화됐다. 국유투자가 11.4% 증가한 데 비해 민간투자는 10.4%에 그쳤다. 특히 부동산개발투자는 7조535억위안으로 상반기에 비해 2.0%포인트 하락한 2.6% 증가에 그쳤다. 이 기간 신규건축면적은 11억4814만㎡로 12.6% 하락했다.
아울러 1.4~3.4분기 누적 수출액은 10조2365억위안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8% 감소했으며 수입액은 7조6334억위안으로 15.1% 급감했다. 이에 따라 전체 무역규모도 17조8698억위안으로 7.9% 줄었다. 다만 소비품 판매는 21조6080억위안으로 10.5% 증가했는데 이는 상반기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무엇보다 전자상거래 판매액이 2조5914억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2% 증가했다.
글로벌 수요 감소로 제조업체들이 투자와 생산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결과다. 8월 톈진항 폭발 사고와 9월 항일전승 70주년 기념 열병식 등으로 제조업체 가동이 중단된 것도 GDP를 떨어뜨리는 데 일조했다.
올해 들어 3분기까지 누적 성장률은 6.9%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의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7.0% 달성에도 비상이 걸렸다. 주요 경제지표가 여전히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 등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로 6.8~6.9%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4분기 기준금리나 지급준비율을 다시 인하해 경기 부양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현재 추세라면 정부의 연간 성장률 목표치인 7.0% 달성이 쉽기 않기 때문이다.
이에 중국 공산당이 오는 26~29일 개최할 '제18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5중전회)에서 어떤 경기부양책을 내놓을지 글로벌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올해 성장률 목표(7%) 달성을 위해 중국 당국이 4·4분기에 기준금리·지급준비율 추가 인하 등 양적완화 정책과 함께 재정확대 정책도 적극 시행할 것이란 전망이 우선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중국 민생증권은 "통화정책 측면에서 디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하락) 압력이 크고 인민은행이 환율안정에 나서면서 자본이탈 압력도 완화됐기 때문에 지준율·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4·4분기는 전통적으로 재정정책 시행도 가장 많은 시기여서 중앙정부 차원에서 재정자금이 실물경제에 흘러가도록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财'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화되는 바이주 (0) | 2015.12.04 |
---|---|
감히 시진핑의 콧털을 건드린 중국 완다그룹 왕젠린의 앞날은? (0) | 2015.11.13 |
차이나 쇼크로 돌아 본 중국경제 변화 (0) | 2015.10.18 |
10억불이상 부잣수 중국이 미국 초월 (0) | 2015.10.16 |
Chinese yuan becomes 4th most used world payment (0) | 2015.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