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류 한한령을 극복키위해선 시장다변화가 필요


한한령은 사드 배치 공식화 이후 시작됐다. 8월 초부터 관련 소식이 날아들었다. ‘함부로 애틋하게’에서 호흡을 맞춘 김우빈과 수지의 중국 팬미팅이 취소됐다. 중국판 ‘나는 가수다’를 통해 승승장구하던 황치열은 중국 쇼 프로그램에 출연했다가 통편집을 당했다.

아이유와 이준기가 주연을 맡은 ‘보보경심 려’가 9월 중국 당국의 심의를 통과했지만 그게 마지막이었다. 송중기는 중국 스마트폰 VIVO의 모델 자리에서 내려왔다. 김수현과 송혜교 등도 중국 화장품 광고모델에서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소문으로만 떠돌던 한한령은 11월 중순 중국 매체가 일제히 보도하며 사실로 굳어졌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그런 말 들어본 적 없다”고 부인했지만 현장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한 중국 문화계 인사는 “당분간 한국과의 이벤트는 전면 금지”란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중국의 중간 관리자들이 ‘알아서 기는’ 상황까지 생겼다. 한국 측에선 억울하다는 분위기가 대세다. 왜 사드와 한류를 연계시키느냐는 것이다. 중국이 대국(大國)답지 못하다는 푸념도 적지 않다.

우리가 할 일은 뭔가. 우선 이럴 때일수록 냉정해야 한다. 차분하게 중국 입장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사실 그동안 벌어진 일련의 사태는 ‘돌출’적이긴 하지만 ‘돌발’적인 게 아니란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사드 문제로 상황이 악화되긴 했어도 그것이 한류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 돌변을 뜻하는 건 아니다. 한류에 대한 중국 당국의 입장은 일관된 것이었다. 한류의 중국 진입은 중국 문화산업 발전에 도움을 주는 선에 머물러야 한다는 점이다. 그 수준을 넘어 과도하게 중국 문화 영역을 침범한다고 생각되면 가차 없이 제재 조치를 취했다.

한국 TV드라마가 황금 시간대에 방영되며 인기몰이를 하자 황금 시간대 방영을 제한했고, 비인기 시간대에도 여전히 위력을 떨치자 공중파 방영 금지란 카드를 꺼냈다. 한국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자 역시 방영을 제한했고, 이에 맞서 예능 포맷 수출이 활성화되자 이마저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중국의 제한에 맞서 한국 문화 콘텐트가 새로운 수출 모델을 만들어내면 뒤쫓아와 다시 제한하는 릴레이식 규제가 이어져온 셈이다.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이 인터넷 방영으로 무대를 옮기자 역시 관련 웹사이트에 대한 규제 조치를 시행했다.

한한령은 바로 이런 흐름의 연장선 위에서 사드라는 문제를 만나 돌출된 것이다. 중국은 한류가 좋아서 용인한 게 아니다. 한류가 들어와 중국 문화산업이 미국을 넘어설 수 있는 힘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정도만 역할을 해 주길 기대하는 것이다.

아무리 중국 입장이 그렇다고 하더라도 안보 문제인 사드를 문화 교류의 상징인 한류와 뒤섞어 처리하는 건 옳지 못하다는 시각이 우리 사회에 있다. 우리가 알아야 할 건 중국은 원래 그런 나라라는 점이다. 우리가 가끔 중국을 오해하는 곳이 바로 이 지점이다.

우리는 문화가 자율적이고 창의적이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사회주의’ 중국은 그렇지 않다. 중국은 2009년 국무원이 ‘문화산업 진흥계획’을 발표하면서 문화 콘텐트 산업 진흥을 위한 국가적 지원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문화에 대한 중국 당국의 기본 관점은 ‘문화사업’ 1순위, ‘문화산업’ 2순위다. 문화사업이란 중국 공산당과 정부가 통치 이데올로기 전파를 위해 수행하는 비영리 활동이다. ‘사업’은 우리말로 ‘공익활동’쯤에 해당한다.

건국 이후 중국은 문화를 ‘사업’으로 간주했다. 출판이나 영화, 미술, 음악 모두 ‘공산당 영도’와 이데올로기 전파를 위해 존재했다. 그러다 자국 문화의 해외 진출과 대중화를 위해 ‘문화산업’ 개념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우선순위는 여전히 ‘문화사업’에 있다.

아무리 잘나가는 문화산업이라 하더라도 문화사업을 위협하면 가차 없이 제재한다. 한류는 바로 그 덫에 걸렸다. 따라서 이번 사태의 핵심은 중국이 대국이니 아니니 하는 문제가 아니다. 중국 입장에선 자국 체제가 위협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일을 주도하는 기관으로 국무원 산하의 신문출판광전총국이 지목된다. 그러나 광전총국 뒤엔 선전부가 있다. 선전부는 공산당 산하 기구로 중국 내 문화, 이데올로기에 대한 전반적인 통치 방향을 결정한다.

중국은 당-국가(party-state) 시스템으로 공산당이 곧 국가다. 국가 운영의 최종 권한은 공산당에 있다. 광전총국이 선전부 의중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한한령 같은 중대한 결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번 사태를 정확히 읽으려면 공산당 선전부의 입장과 역할을 정교하게 들여다봐야 한다. 중국 당국 또한 민심에 역행하는 과감한 조치를 취하기는 어렵다. 한한령은 한류에 대한 중국 일각의 반감(反感)을 반영하는 측면이 있다.

중국 내 한 전문가에 따르면 ‘별에서 온 그대’ 이후 김수현이 중국에서 촬영한 광고만 35개에 이른다고 한다. 광고당 출연료는 최소 수억 위안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연예인이 왜 그렇게 많은 돈을 중국에서 가져가야 하나에 대한 반감도 퍼져 있는 것이다.


박보검이 K-swiss라는 스포츠 브랜드 광고에서 중국을 멸시하는 듯한 내용을 찍었다. ‘만리장성’이란 이름의 중국인과의 바둑대결에서 ‘만리장성’이 작고 뚱뚱한 외모였던 데다 바둑의 승리도 박보검이 차지했다. 중국 매체는 박보검이 ‘중국을 비하했다’고 비난했다.

두 사례 모두 ‘혐한(嫌韓)’ 정서에 기인해 그 악순환을 조장하고 있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준다. 중국 당국의 이번 한한령 역시 이 같은 중국 내부의 목소리에 부응하는 측면도 있는 것이다.

한류는 우리 국민의 자존심이다. 한국인에게 ‘민족적’ 자긍심을 심어준 현상이다. 중국을 대국으로 섬겼던 지난 역사를 생각하면 중국에서 한류가 저토록 사랑받는 건 가슴 뿌듯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한류 공격이 한국이 가장 아파하는 부위에 대한 일격이라는 걸 중국은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한한령은 바로 사드라는 도전에 맞서 중국이 한국의 급소를 공략하는 셈이다.

물론 이번 사태로 중국도 잃는 게 적지 않다. 양국이 공동 투자해 제작한 다양한 문화상품이 타격을 입고 있다. 또한 이제 한류를 보는 중국의 시각과 입장이 무엇이었는지, 그 바닥과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다. 양국의 문화적 동질성을 강조하던 기존 입장은 설 자리가 어렵게 됐다. 이제 우리는 중국이 ‘문화적’으로도 매우 다른 나라임을 직시해야 한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한국 문화산업은 각고의 노력을 지속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됐다. 우선 중국이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는 고품질의 콘텐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았다.

또 한·중 문화 교류의 균형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현재 두 나라 사이 문화산업 교역은 약 10분의 1 격차를 보여준다. 우리 상품만 사달라고 할 수는 없다. ‘진출’은 언제나 ‘진입’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중요한 ‘시장’이지만, ‘시장’으로만 간주해선 안 된다. 문화는 산업이면서 동시에 정신이기 때문이다. 우리 역시 중국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에 선보이는 중국 영화와 공연, 전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우리 문화 콘텐트의 해외 시장을 다변화하는 노력도 게을리해선 안 된다. 지금 중국은 한국 문화 콘텐트의 가장 큰 시장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한다. 가장 큰 시장이 위기를 맞으면 산업 전체의 위기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 이젠 동남아와 중동,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시장 다변화를 통해 중국 리스크를 줄여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