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거대한 감옥도시 중국 신장

​신장은 세계에서 가장 삼엄한 ‘경찰 통치 지역’이 됐다. 정교한 감시카메라와 검문,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수집과 감시 기술이 주민들의 일거수일투족을 촘촘하게 감시한다. 1000만명의 위구르족들은 잠재적 테러리스트, 반국가 세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호텔과 은행, 쇼핑몰에서 안면인식 카메라가 수상한 인물을 가려낸다. 주유소에서는 신분증을 스캔하고 홍채인식 장치에 눈을 대야 한다. 거리의 공안요원은 스마트폰에 어떤 사진과 영상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 장비로 수시로 시민들을 검문한다. 위험인물로 판단되면 말하는 어조까지 기록한다. 도로의 카메라는 지나는 차량이 다른 지역에서 왔는지 번호판을 보고 자동식별한다. 상업용 차량에는 의무적으로 위치추적기가 달려 있다. 검은색 장갑차와 군용 지프가 일상적으로 거리를 누빈다.


2009년 신장의 중심도시 우루무치에서 일어난 위구르족과 한족의 충돌, 2013~2014년 신장과 쿤밍 등에서 일어난 공격 사건 이후 통제는 계속 강화돼 왔다. 특히 중국의 또다른 소수민족 지역인 티벳 당서기를 역임한 뒤 지난해 신장 당서기가 된 천취안궈 서기는 분리주의 세력과 테러리스트 소탕을 내세워 ‘공포 정치’를 강화했다. 호탄(허톈)의 선전 담당 관리인 바오창후이는 “우리가 이 일을 하지 않으면 몇년 전과 같은 상황이 되풀이돼 수백명이 목숨을 잃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 당국은 위구르족 무장세력들이 시리아 내전에서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에 가담해 싸우고 있다며 치안 강화 조처의 정당성을 강조한다. 하지만 해외로 망명한 위구르족 운동가들과 국제 인권기구는 중국 당국의 강압적 통치가 위구르족들을 극단주의에 기울게 하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중국 당국은 수용소 구금이 ‘직업 훈련’ 프로그램이라고 하지만, 위구르족들은 일종의 세뇌 프로그램이라고 말한다. 이곳에 갇힌 위구르족들은 중국어, 법률, 민족단결, 극단주의 탈피, 애국심 등을 학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의 압력은 해외에서 유학중이거나, 망명한 위구르족들에게까지도 미치고 있다. 이집트 당국은 최근 자국내에서 이슬람을 공부하는 위구르 학생들을 중국으로 송환하기 시작했다. 돌아온 학생들은 해외에서 무엇을 했는지 삼엄한 심문을 받고 많은 이들이 수용소로 보내진다.

특히 신장 남부는 전세계에서 가장 삼엄한 지역이다. 호탄(허톈) 시내에는 500미터 간격으로 경찰 초소가 설치됐고, 중심도로에는 무장 장갑차가 다니며 순찰한다. 검문소마다 차량을 세우고 신분증을 검사하며, 스마트폰에 종교적 내용이 들어있는지 등을 체크한다. 시장에 들어가려면 금속탐지기를 통과한 뒤 신분증을 제시하고 얼굴 인식 시스템을 거쳐야 한다.

신장 당국이 발표한 예산 자료를 보면, 올해 1~8월 공안 관련 예산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0% 증가했다. 2009년에 비해서는 4배 증가했다.

지난해 말부터 신장 당국은 의무적 건강검진 등을 통해 주민들의 DNA 샘플과 지문, 음성 정보 등 생체정보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신장위구르자치주 정부가 무료 신체검사를 명목으로 주민들의 사진과 함께 DNA 샘플, 지문, 혈액형, 홍체 등의 생체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12~65세의 광범위한 주민들이 대상이며 올들어 1880만명이 신체검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반체제인사ㆍ독립활동가 등 위험인물을 감시하기 위해 나이에 상관 없이 생체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고 있다는 것이 서방 인권단체의 지적이다.    

이번달 신장 정부는 지역내 모든 정부 공무원들이 위구르족 가정에 1주일씩 머물면서 이데올로기와 극단주의 극복 방안을 가르쳐야 한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분리독립 운동이 일었던 위구르족 신장자치구를 수년 새 숨 막히는 ‘판옵티콘(Panopticon·원형감옥이란 뜻으로 항상 감시받는 상태를 의미) 도시’로 만들어놓았다. 소설 속 ‘빅브러더’를 연상시키는 첨단감시 체제가 일상화된 것은 물론 최근 이 지역에서 수만명이 실종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반인권적 행태를 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 신장자치구 수도 우루무치의 삼엄한 분위기를 전했다.

중국 정부가 이 지역 보안체계를 급격히 강화하기 시작한 것은 2014년 3월 중국 서남부 쿤밍역 테러 이후다. 정부는 테러 배후로 신장자치구 분리독립 운동 세력을 지목했다.

분리운동 세력에 대한 감시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사상 유례가 없는 첨단 시스템이 도입됐다. 신장자치구로 들어가는 길부터가 감시의 시작이다. 과거 실크로드 관문으로 쓰였던 지점은 공안의 검문소로 변했다. 이곳에서 전신 스캔과 신분증 검사, 안면 스캔을 거쳐야 한다. 길에도 수십∼수백m마다 카메라가 지켜보고 있다. 올해 초부터는 모든 식당에도 감시카메라 설치가 의무화됐다. 주민들이 제출하는 인구조사 양식에는 해외여행 횟수와 주변인 중 수감자 등을 기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주민은 3단계 위험등급 인물로 분류된다. 

신장자치구에 올해 들어 3월까지 보안 강화 명목으로 들어간 금액은 70억 위안(1조1500억원)이 넘는다. 보안업체 ‘운종과기(云從科技)’의 쟝준 최고경영자(CEO)는 WSJ에 “신장자치구 인구 10만명당 들어간 감시장비가 타 지역 수백만명에게 들어간 장비와 맞먹는 수준”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