在/余 썸네일형 리스트형 초콜릿과 스테이크, 고급화되는 중국인들의 입 맛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최근 “중국 젊은이들이 초콜릿에 열광하고 있다”면서 “2020년까지 중국 초콜릿 시장이 400억 위안(약 6조 9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2015년 중국 초콜릿 매출액 200억 위안의 두 배다. 현재 중국인 1인당 초콜릿 소비량은 1㎏도 안 돼 유럽의 10분의 1 수준이다. 그만큼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이다. 특히 고급 초콜릿에 대한 중국인들의 선호도가 강해 세계 굴지의 초콜릿 기업들은 앞다퉈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스위스의 대표적인 초콜릿 업체인 배리칼리보는 향후 5년 내에 중국 현지 공장 2곳을 새로 지을 예정이다. 배리칼리보는 최근 색소 없는 분홍초콜릿 ‘루비’를 개발해 상하이에 맨 먼저 출시할 정도로 중국 시장에 공.. 더보기 세상의 중심, 내몽골 몽골어로 ‘몽골’은 ‘세상의 중심’이란 뜻이다. 그러나 중원의 한족은 몽골족에 ‘몽고(蒙古)’라는 이름을 붙였다. ‘무지몽매하고[蒙] 고루한[古] 것들’이라는 이미지를 덮어씌운 것이다. 한족에게 몽골족은 무지함을 일깨워줘야 할, 즉 계몽(啓蒙)의 대상이었다. 이 같은 편견은 몽골의 조상, 흉노 때부터 시작됐다. ‘흉노’는 흉노어로 ‘사람’이라는 뜻인데, 중원은 ‘흉악한 노예’를 떠올리게끔 ‘흉노(匈奴)’라고 음차했다. 사마천은 비교적 점잖게 하(夏)나라 하후(夏侯)씨의 후예가 북방으로 가서 흉노족이 되었다고 설명했지만, 전국시대 중원의 노예들이 혼란을 틈타 북방으로 도망쳐 흉노족이 되었다는 속설이 횡행했다. 중원의 떨거지들이 북방 오지에 가서 야만스럽게 산다는 멸시가 깔려 있다. 그러나 흉노는 중원의.. 더보기 추석, 양귀비, 호떡 이천여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구운 빵 낭(馕)은 신장 위구르인(新疆维吾尔族)들의 주식이다. 페르시아어에서 기원한 ‘낭’은 원래 위구르족 언어로 아이마크(艾买克)라 했고 아랍반도와 터기, 서부 아프리카 등지에서 유행했는데 이슬람교와 함께 신장에 전해져 ‘낭’으로 불러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馕——馕是新疆各兄弟了族喜爱的主要面食之一,已有两千多年的历史。据考证,“馕”字源于波斯语,流行在阿拉伯半岛、土耳其、中亚细亚各国。维吾尔族原先把馕叫做“艾买克”,直到伊斯兰教传入新疆后,才改叫“馕”。 오늘날 신장의 낭은 고기낭과 기름낭, 옥수수 가루 낭, 참깨 낭 등을 망라해 종류가 50여가지에 달하고 계란과 우유, 양파, 파 등 들어가는 식재와 양념도 다양하다. 낭을 굽는 전용 가마는 삥캉(饼炕)이라 부르는데 흙.. 더보기 第三者, 부패 권력에 따르는 혼외 정사 ‘디싼저(第三者)’ 원래 법률 용어였다. 말 그대로 제삼자라는 뜻이다. 이른바 혼외정사의 대상(남녀 불문)을 말한다. 내연남 혹은 내연녀쯤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요즘 중국 정가의 ‘슈퍼 관심사’다. 당 기율 위반 혐의로 낙마한 쑨정차이(孙政才·54) 전 충칭시 서기에게 ‘디싼저’가 있다는 소문이 돌면서다. 사실 쑨 전 서기만이 아니다. 시진핑 주석 취임 이후 부패 혐의로 낙마한 수천 명의 고위직 공무원의 90% 정도가 ‘디싼저’가 있었다는 것은 중국 권력의 불편한 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대로 디산저는 법률 용어다. 1984년 중국 최고 인민법원에서 특정 부부를 이혼에 이르게 한 혼외 연애의 대상, 즉 제삼자를 ‘디싼저’로 규정했다. 당시 중국 사회는 개혁개방과 함께 서구 문화가 유입되면서 혼.. 더보기 중국을 살찌운 문명의 길목, 서북의 늑대 간쑤 중국과 대륙의 서부를 잇는 간쑤(甘肃)는 문명의 길목이다. 지금의 장예[张掖]인 감주(甘州)와 지금의 주취안[酒泉]인 숙주(肃州)의 첫글자를 따서 감숙(甘肃)이라 이름하였다. 왜 ‘문명’을 거론할 수 있는 땅일까. 이곳은 지형이 길고 좁은 복도와 흡사하다. 크고 험한 산맥의 흐름 중간에 있어 사람이 이동하기 비교적 수월한 통행로의 모양새다. 그래서 이곳을 황허(黃河)의 서쪽에 난 긴 복도, 즉 河西走廊(하서주랑)이라고 적고 부른다. 간쑤의 동서 길이는 약 1600㎞다. 이 가운데 특이하다 싶을 정도의 복도 모양 지형은 길이 약 900㎞다. 남쪽으로 흐르는 치롄(祁连)과 아르킨 산맥, 북쪽으로 지나는 마쭝(马忠)과 허리(合黎)산의 사이다. 폭은 몇 ㎞로 좁아지다가 때로 100㎞ 정도로 넓어진다. 이곳은.. 더보기 요즘 베이징 지하철에서 벌어지는 일들 6월 19일 베이징 지하철 2호선 한 역내 플랫폼에서 더보기 중국 프로축구 최대 난투극 벌인 오스카 중국 슈퍼리그 상하이 상강(上海上港)의 오스카가 경기 중 상대 선수에게 공을 맞추며 난투극을 유발했다. 상하이 상강이 원정경기에 나선 광저우 푸리(广州富力)와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한 오스카는 고의적인 의도를 가지고 광저우 선수를 향해 공을 맞혔다. 오스카는 당황한 광저우 선수들이 항의할 새도 없이 몸을 맞고 튀어나온 공을 다시 한번 다른 선수를 향해 날렸다. 비매너 행위에 흥분한 광저우 선수들은 오스카를 밀치며 항의했고, 오스카는 그대로 바닥에 쓰러졌다. 그라운드에 엎드려있던 오스카를 두고 흥분한 양 팀 선수들은 거친 몸싸움을 벌였다. 결국, 오스카가 속한 상하이의 푸 후안(傅欢)은 퇴장당했다. 상대팀 광저우는 리 티샹(李提香)이 퇴장을 당하고 세 명의 선수가 경고를 받았다. 그러나 난투극의 .. 더보기 무단횡단자 욕하며 때렸다가 차가 뒤집어진 중국 https://m.weibo.cn/1645817972/4118103891364415 지난 12일 오전 후난성 롱후이현(湖南 隆回县)에서 후(胡)모씨가 무단횡단을 하자 차량에 타고 있던 운전자 커플 양, 장모씨가 내려 욕을 하면서 무단횡단 여성의 뺨을 때렸다. 그러자 주위에서 이를 지켜보던 10여명의 행인들이 이를 보고 격분해 운전자의 차를 뒤집어 버린 것. 경찰이 흥분한 군중들을 해산시키는데 3시간이 걸릴 정도로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더보기 오의 머리이고 초의 꼬리이며, 월의 집과 민의 뜰(吴头楚尾,越户閩庭) 장시성의 약칭은 ‘강 이름 감(赣)’이다. 장시성 젖줄 감강(赣江)에서 따온 글자다. 감강은 산시·후베이의 한수(汉水), 후난의 상강(湘江)과 함께 장강 중류의 3대 지류다. 감강은 장시의 등을 훑고 올라가 중국 최대의 담수호인 파양호(鄱阳湖)에서 잠시 숨을 고르고는 장강에 합류한다. 장시를 ‘감강과 파양호의 땅(赣鄱大地)’이라고 할 만큼, 감강과 파양호는 장시의 상징이다. 강남은 ‘장강의 남쪽’이라는 뜻이기는 하지만 사실상 ‘강남’이라 할 때 떠올리는 지역은 장쑤성과 저장성의 강동(江东)이다. 강동은 오(吴)와 월(越)의 처절한 사투가 일어났고, 항우는 강동의 8000 자제를 이끌고 중국을 제패했으며, 강동의 호랑이 손견을 필두로 손책·손권·주유 등이 활약한 곳이다. 그에 반해 장시, 즉 강서 지방은.. 더보기 중국의 두번째 수도, 난징 화로(火炉), 여름철 찌는 듯 더운 도시를 중국에서는 ‘화로’라고 표현한다. 이 말이 생겨난 건 민국시기다. 당시 매체에서 지칭한 ‘3대 화로’는 충칭(重庆), 우한(武汉), 난징(南京)이다. 공교롭게도 이들 도시는 각각 창장(长江)의 상류·중류·하류에 자리한다. 세 도시에는 모두 창장대교가 놓여 있다. 창장을 가로지르는 수십 개의 대교 중에서 우한과 난징의 것은 의미가 각별하다. 1957년에 개통한 우한창장대교는 제1호 창장대교다. 그런데 소련의 기술 지원을 받아서 만든 것이다. 중국이 독자적으로 건설한 첫 번째 창장대교는 바로 1968년에 개통한 난징창장대교다. 자동차가 달리는 위쪽 다리의 길이는 4589m, 기차가 달리는 아래쪽 다리의 길이는 6772m에 달한다. 중·소분쟁이 격화되었던 1960년대..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