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심을 얻기위해 무슨 짓이든 하는 사람들 사드 갈등을 계기로 중국의 '관종'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관종이란 관심 종자의 줄임말로, 특이하고 괴상한 행동을 통해 타인의 관심을 갈구하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어떤 일도 서슴지 않는 게 이들의 특징이다. 심지어 목숨까지 걸 정도다. 특히 사드와 같은 전 사회적 이슈는 이들이 가장 선호하는 타깃이다. 관종들은 우리나라를 포함 전 세계 모든 곳에 존재한다. 그런데 중국에는 관종들이 유독 많다. 단순히 인구가 많기 때문이 아니다. 중국에는 일찍부터 관종을 소비하고 다시 생산해내는 꽤 체계적인 시장이 자리 잡아왔다. 관종을 대하는 미디어의 태도도 사뭇 진지하다. 우리가 관심이 없었을 뿐, 중국 관종의 역사는 생각보다 오래됐다. 관종 문화를 통해 중국 사회의 일면을 볼 수 있다고.. 더보기
중국의 꿈은 세계의 꿈이 아니다 중국의 역대 지도자들은 저마다 핵심 목표가 있었다. 마오쩌둥은 ‘사회주의 건설’을 얘기했고, 덩샤오핑은 ‘개혁·개방’을 전면에 내세웠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2013년 초 취임하면서 ‘중국의 꿈(中國夢)’을 화두로 제시했다. 중화 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뜻하는 이 말에는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구축하겠다는 야심도 숨어 있었다. 이후 중국은 자국의 급부상을 불안해하는 다른 나라들을 의식해 ‘중국의 꿈은 세계의 꿈(中國夢, 世界夢)’이란 그럴듯한 슬로건을 만들어냈다. 중국이 주도하는 국제질서가 세계 모두에 이로울 것이란 의미였다. 작년 7월 한국 정부가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했을 때다. 중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 기업인들은 “왜 정부가 최대 교역 대상국인 중국을 적으로 만드는 결정을 했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다”는.. 더보기
가난이라는 암에 걸린 중국 빈곤층 2016년 중국엔 자산 1억 위안(약 170억 원) 이상의 부자가 9만 명에 육박했다. “사회주의를 보려면 유럽으로, 자본주의를 보려면 중국으로”라는 말이 딱 들어맞는다. ‘쏴쏴(빠르게, 刷刷)’하게 증가하는 부자들은 개혁개방의 빛이자 승자이다. 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가난한 인민들은 개혁개방의 어두운 그림자이다. 그리고 시진핑 정부가 직면한 당면과제이다. 현재 중국은 상위 1% 가정이 전국 자산의 3분의 1을 보유하고 있다. 상위계층 10%와 하위 10%의 소득차는 23배까지 벌어졌다. 소득격차의 심화는 계층의 분화를 넘어 계층의 양극화로 치닫고 있다. 그리고 계층의 양극화는 시간이 흐를수록 빈부의 세습화로 진행되고 있다. 그렇다면 ‘헬차이나’를 상징하는 신조어들은 무엇이 있을까? 첫째, 핀얼다이.. 더보기
사투리의 나라 중국 중국은 방언의 천국이다. 같은 문자와 어법을 사용하지만 발음과 억양이 지역별로 천차만별이다. 중국 전역에 수백여종의 방언이 존재하며, 표준어 발음만 알아서는 이들 방언을 알아듣지 못한다. 중국에서 ‘표준어(보통화)’라는 개념은 청나라 말기에 들어서야 나타났다. 청 황실은 당시의 베이징 언어를 표준어로 삼아 ‘국어’라고 호칭했다. 베이징에 거주하는 만주족이 사용하는 중국어 발음이 표준발음이 됐다. 때문에 만주족의 본거지였던 동북지역의 중국어 발음은 아직까지도 보통화와 거의 흡사하다. ​​청나라 멸망이후 국민당의 중화민국정부 역시 청 황실의 표준어를 기반으로 국어 발음 기준을 제정했다. 이후 발음기준을 수차례 수정했고, 이 시기에 주음부호도 만들어졌다. 1949년 중국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출범시킨 후 표.. 더보기
닭보다 나은가 ​ 한때 들에서 살았으나 약 1만 년 전에 가축이 된 이들. 이들은 과연 그토록 쉽게 도살돼도 되는 존재일까? 육계는 부화해서 도살되기까지 약 30일을, 산란계는 약 1년을 살게 한다는데, 쾌적한 환경에서라면 8년에서 15년까지 생존할 이들의 삶을 이토록 단축할 권한이 과연 인간에게 있기는 할까? 닭은 우리가 필요한 만큼만 쓰고 불필요할 때 ‘처분’하면 그만인, 인간의 소유물일 뿐인가? ​ ​ 亞洲禽流感疫情延燒,南韓H5N6疫情最嚴重,16日警戒級別已升至最高級。截至24日為止,南韓已撲殺超過2千2百萬雞隻,中國則傳出有2人因感染H7N9而死亡。農委會副主委黃金城受訪時表示,台灣除了已凍存稽留的染病屠體,尚未傳出新疫情;若有農場發現可疑病例,須立即通報各縣市的家畜疾病防治所。 南韓撲殺近1/5雞 《韓聯社》25日報導,自從11月16日位於.. 더보기
트럼프는 중국 쓰촨사람? ​ 미국의 45대 대통령 당선자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를 중국에서는 ‘탕나더ㆍ터랑푸(唐纳德ㆍ特朗普[TángnàdéㆍTèlǎngpǔ])’로, 대만과 홍콩에서는 ‘‘탕나더ㆍ촨푸(唐纳德ㆍ川普[TángnàdéㆍChuānpŭ])’라고 표기하고 있다. ‘Trump’에서 ‘tr’은 영어에서 ‘ch’나 ‘chu’ 비슷하게 발음된다. ‘Trump’는 ‘실제 발음 존중 원칙’에 입각하면 ‘川普’가 맞겠지만 중국에서는 ‘기존 표기 존중 원칙’을 적용하여 ‘特朗普’로 통일하였다. 중국은 외국 명칭 표기를 관영 신화통신사 역명실(新华通讯社 译名室)에서 주관하는데 ①名从主人[míngcóngzhǔrén](원음 존중) ②约定俗成[yuēdìngsúchéng](전례 존중)을 양대 원칙으로 한다. 신화사의 ‘터랑푸(特朗普.. 더보기
닭이 갖춘 다섯가지 덕과 빨간 속옷 ​​​​새해에 빨간 속옷을 입으면 좋다고 중국인들은 신년을 앞두고 빨간 속옷장만에 여념이 없다. 빨간색은 에너지의 근원, 불꽃, 열정, 힘과 성공을 의미하는 색으로 새해에 그런 행운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소원을 담아 설날에 새빨간 속옷을 입는다고 한다. ​ 2017년은 정유년(丁酉年), 닭의 해인데, 중국에서는 닭의 발음인 지(鸡)와 길하다는 지(吉)의 발음이 똑같아 닭이 평화, 행운, 복 등을 의미하며, 중국인들은 닭이 우는 소리와 함께 새벽이 오고 어둠이 끝나며, 밤을 지배하던 마귀나 유령이 물러간다고 생각하여 닭은 여명(黎明)과 축귀(逐鬼)를 상징하는 상서로운 새라고 한다. 닭은 십이지(十二支) 중 유일한 조류로, "머리에 관(볏)을 썼고(문·文), 발톱으로 공격하며(무·武), 적을 보면 싸우고.. 더보기
한류 한한령을 극복키위해선 시장다변화가 필요 한한령은 사드 배치 공식화 이후 시작됐다. 8월 초부터 관련 소식이 날아들었다. ‘함부로 애틋하게’에서 호흡을 맞춘 김우빈과 수지의 중국 팬미팅이 취소됐다. 중국판 ‘나는 가수다’를 통해 승승장구하던 황치열은 중국 쇼 프로그램에 출연했다가 통편집을 당했다. 아이유와 이준기가 주연을 맡은 ‘보보경심 려’가 9월 중국 당국의 심의를 통과했지만 그게 마지막이었다. 송중기는 중국 스마트폰 VIVO의 모델 자리에서 내려왔다. 김수현과 송혜교 등도 중국 화장품 광고모델에서 교체될 것으로 보인다. 소문으로만 떠돌던 한한령은 11월 중순 중국 매체가 일제히 보도하며 사실로 굳어졌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그런 말 들어본 적 없다”고 부인했지만 현장 분위기는 사뭇 달랐다. 한 중국 문화계 인사는 “당분간 한국과의 이벤.. 더보기
22년 중국판 세월호 사건 "높은 분부터 먼저 도망갈 수 있도록 가만히 있으라 ​​ 지금으로부터 22년전인 1994년 12월 8일 오후 6시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커라마이시(克拉玛依市) 우정공연장에서 초·중학생 736명과 선생님, 공무원 등 총 796명이 참여한 문맹 퇴치 기념공연이 열렸다. 공연이 시작되고 20분이 지난 오후 6시 20분, 공연장 무대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무대 위에 설치된 조명등 중 하나가 과열돼 불이 났고, 이 불이 무대 막으로 옮겨 붙었고, 무대 막에 붙은 불이 관람석으로 번지면서, 공연장 전체가 불길에 휩싸였다. 화재 발생 당시 공연장에서 건물 복도로 나갈 수 있는 문은 총 6개였지만 2개가 열쇠로 잠가 놓아 이용할 수 없었고 건물 복도에서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문은 총 8개가 있었는데, 그 중 문 하나만 열려 있었고, 나머지 문 7개는 열쇠로 잠가 놓.. 더보기
중국식 체면 체면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단어다. 굳이 ‘중국식’이라고 강조하고 싶다. 개인적으로 중국인들과의 인간관계에서 가장 핵심은 바로 이 ‘중국식 체면’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중국인의 ‘체면 관리’를 단순히 허례허식이나 형식주의라고만 이해하면 절대 안 된다. 평범한 중국인들도 ‘체면 관리’에 대해 어려워하고, 부정적인 의견을 표출할 수 있다. 하지만 학자들은 오히려 더 심각하고 신중하게 여긴다. 그들은 중국인의 체면에 대해 ‘생명줄’이라고까지 말하기도 한다. 중국인들의 전통 사유 바탕에는 ‘체면’에 대해 복잡하고 확고한 뿌리가 있다. 임어당(林語堂)은 “중국을 통치하는 3개의 여신이 있다”며 체면(面), 운명 또는 인연(命), 보은(恩)을 들었다. 역시 체면이 으뜸이다. 체면을 파고들면 맨 아랫단에는 중국인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