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세계에서 가장 숫자가 많은 종족, 샐러리맨(上班族) 중국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족들은 매일 아침, 저녁 출퇴근하는 상빤주(上班族)들.. 중국 한 매체가 상빤주들의 출퇴근 풍경을 카메라에 담았다. 후난 창사의 횡단보도 신호등에 대기하고 있는 출근길 모습 ​​​​​​ 베이징 아침 지하철 풍경 ​ 항조우 오토바이 출근길에 만두로 아침해결하는 한남자​ 청두의 한 직장직원들이 아침 캠페인 활동중 잠시 휴식을 취하는 모습​ 아침 일거리를 잡지못한 충칭 노동자들끼리 포커로 무료한 시간을 보내는 모습​ 쑤저우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도우미들이 경기 후 저녁을 먹는 모습​ 더보기
재능도 없고 용기도 없다는 한 명문대 학생의 자살 ​​​​ “既没有才华,又没有勇气” 중국에서 베이징대, 칭화대와 더불어 3대 명문대로 꼽히는 중국인민대학에서 지난 2일 학생이 투신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년새 벌써 3번째다. 인민대는 유난히 학생 자살 사고가 많은 것으로 유명하다. 2004년부터 지금까지 11년간 17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교수가 자살한 사례도 있었다. 이 대학 화학과 차오팅빙(曹廷炳) 교수는 지난 2012년 3월 고층에서 뛰어내려 숨졌다. 당시 39살이던 그는 학문 연구와 근무 스트레스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학 학생들은 인터뷰에서 학업 부담 등 학생들의 자살 이유가 다양하지만 감정상의 이유가 가장 많은 것같다고 말했다. 중국에선 최근들어 대학생의 자살이 증가하고 있다. 2002년 27건이던 대학생의 자살이 2006.. 더보기
우리는 취약계층 ​중국에서 취약계층이란 용어는 2002년 3월에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원자바오 총리의 정부공작보고에 처음 등장한다. 당시 중국 정부 기준으로 연간 순수입 1196위안 미만자를 도와주어야한다는 의미에서 나온 말이다. 전국에 있는 3597만 명의 농촌 빈곤인구나 퇴직 빈곤층이 대상자였다. http://news.qq.com/a/20101112/000188.htm?pgv_ref=aio%3Fpc 그런데 이 용어가 나온 지 13년이 지난 요즘에는 자가용을 타고 다니는 사람들도 자신은 취약계층이라며 정부에 해결책을 요구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장더왕(章德旺)은 헤이룽장(黑龙江)성의 한 농촌 출신이다. 그는 시골에서 작은 건축회사를 차려 연간 10만 위안을 벌지만 늘 사회적 약자라고 생각한다. 그는 “중국에서.. 더보기
중국 이케아"매장에서 더이상 잠은 사절" ​​ 우리나라에서도 작년 이케아가 오픈하면서 이런저런 화제를 뿌리고 있습니다. 특히 올 2월 SNS를 통해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것이 "이케아 연필거지" 였습니다. 다른나라에서는 2년간 사용할 연필 양이 우리나라에서는 2개월만에 동이 낫다하여 공짜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국민성까지 들먹였던 논란이었습니다. 그런데 국민성이라면 그 어느나라에도 뒤지지않는 중국에서도 이케아(이쟈,宜家)가 이런 일부 고객들 때문에 골치가 아픈가 봅니다. 이케아는 더이상 참지못하고 매장내 디스플레이된 침대, 소파에서 잠을 자는 고객들을 정중히 사절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중국 기자가 직접 베이징 이케아 매장내 잠을 자고 있는 손님들을 찾아 인터뷰했는대요. 침대 매장에서 이불까지 덮고 자고있던 한 중년 아줌마는 .. 더보기
단오도, 한자도, 공자도, 이제는 "벚꽃"도 한국 것이라고 ​ 중국 언론매체들이 심심하면 들먹이는 것이 있습니다. 한국사람들은 좋은 것은 다 한국에서 나왔다고 주장한다는 '한국기원론'. 잠시 잠잠하더니 오늘 또다시 이 '한국기원론'을 보도하는 신문이 나왔습니다. 중국 난팡두스빠오(南方都市报)가 3월 30일 상춘(赏春)의 상징인 벚꽃이 지금은 일본의 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일부 한국 매체들이 벚꽃은 원래 한국에서 기원한 것이라고 주장한다며, 대한민국(大韩民国)이 아닌 대한잉화국(大韩樱花国)이라 조롱했습니다. 이 신문에 따르면 꽃구경 시즌을 맞아, 꽃구경(赏花)의 대표격인 매화의 기원을 가지고 한일간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중인데, 3월 29일 어제 중국매화산업협회에서도 광저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매화 기원지 논쟁에 .. 더보기
2014년 중국 국가이미지 조사 중국외문국(中国外文局) 산하 대외전파연구센터(对外传播硏究中心)와 시장조사기관 Millward Brown이 공동으로 조사한 ‘2014년 중국 국가 이미지 글로벌 조사 보고서/中国国家形象全球调查报告2014’가 지난 3월 18일 발표됐다. ​ 이 조사에 따르면 중국 국가 이미지는 10점 만점에 5.9점을 기록, ‘13년에 비해 0.8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보고서는 영국, 미국, 호주, 일본,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 총 8개 국가 국민 각 500명과 중국 자국민 500명 등 총 4,500명을 대상으로한 조사한 결과이다. 전체 응답자 중 46%는 중국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국민 생활수준도 높은 편이라고 응답했고, 45%는 중국이 빈부격차가 큰 국가라고 답했다. ​ 가장 인지도가 .. 더보기
차이징의 우마이에 관한 이야기 ​ 제가 지난 3월 1일 블로그에 올린 '차이징(柴静)이야기' 가 "후쟝한위(沪江韩语)"란 중국의 한 온라인 카페에 올라왔내요.. 이제 차이징의 스모그 경고 영상물은 중국 정부에 의해 차단당하여 중국내에선 볼 수 없는상황입니다. 그렇치만 차이징에 관해 별 내용없는 제 애기까지 중국어로 올릴 정도로 중국인들에게 공기오염에 관한 주목을 쏠리게 하였다는 점에서, 차이징의 시도는 완전 성공이라 할만합니다. 중국에서 동풍이 불면 중국을 뒤덮었던 초미세 먼지가 서울 하늘로 다 날아오는 우리 입장에서도 그냥 보고만 있어선 안될 지경이기에 국내매체에서도 중국의 스모그 문제는 많은 관심을 갖는 사항이기도 합니다. 아래는 沪江韩语无花果란 분이 제 글을 중문 번역하여 올린 내용입니다. http://www.wtoutiao.c.. 더보기
'인생은 짧습니다. 연애하세요' '기혼자 연애'를 주선하는 인터넷 사이트 애슐리 매디슨의 한국어 사이트가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기혼남녀들의 만남사이트로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이 싸이트는 원래 캐나다에서 2001년 시작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도 3천 2백만 명, 46개국에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작년 3월에 개설을 했다가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유해사이트로 규제가 돼서 차단이 된 바가 있었습니다. 해당 사이트는 그간 접속이 차단돼왔지만 최근 국내에서 간통죄가 폐지된 직후 서비스를 재개한 것입니다. 애슐리 매디슨이 개설한 한국어 사이트를 접속하면 회원 가입과 로그인을 유도하는 첫 화면에 "인생은 짧습니다. 연애하세요"라고 적혀 있습니다. 하단에는 "당사는 가장 인정받고 가장 많이 알려진 혼외 관계 회사입니다. 당사의 기혼자 .. 더보기
성형에 죽고 성형에 살고 ​ ​ 55년생,올해 환갑인 류사오칭(刘晓庆)의 최근 사진 한동안 중국 영화계에서 모습을 볼 수 없었던류사오칭이 최근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어려진 외모로 방송 및 영화계에 컴백했다. 류사오칭은 1980년대 중국을 대표하는 미인 배우. 1975년 데뷔, 1987년 중국영화제 최우수여배우주연상 (제 7회中国电影金鸡奖最佳女主角)을 받는 등 미모와 연기력을 동시에 인정받기도 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나이가 들어가며 깊은 주름과 푹 꺼져 앙상해 보이는 얼굴 들 미모를 잃어가 팬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그러나 최근 30년은 어려진 듯 완벽한 뽀얀 피부와 볼륨 있는 몸매를 되찾을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전신 성형수술이었다. 류사오칭은 한 드라마 기자회견에서 "과학기술의 발달을 통해 모든 사람은 자신의 원하는 .. 더보기
중국 대머리 아저씨 2억명에 탈모 면적은 서울 8배 ​​ 李亚鹏低头喝汤时尽显秃顶 왕년에 중국대륙의 모든 아가씨, 아줌마들의 마음을 쥐고 흔들었던 훈남의 영화배우이자 중국 최고의 여가수 왕페이(王菲)의 전남편 리야펑(李亚鹏)이 고개숙여 탕을 마시자, 숨기고 싶었던 머리가 홀랑까져 속알머리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7일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열린 자신의 지인 결혼식에 참석한 리야펑. 이혼후 오랜만에 공식 석상에 등장했다. 당연히 언론에 그의 동정이 보도됐는데 문제는 당시 그의 얼굴이었다. 이른바 속알머리가 거의 다 빠져 대머리가 된 모습을 보여준 것. 과거 훈남 시절의 모습을 기억하는 팬들이라면 그야말로 경악할 정도의 모습이었다. 이처럼 훈남을 단번에 아저씨로 만들어 버리는 대머리는 모든 중년남성들이 가장 피하고 싶어하지만 사람 마음대로는 안되.. 더보기